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greek myth그리스신화
- 기간토마키아
- 의학용어
- greek myth+medical terms
- 라틴어
- greek myth
- 과학용어
- 운명의 여신
- 크로노스
- 그리스신화+의학용어
- 프로메테우스
- 우라노스
- medical terms의학용어
- 로마신화
- 오케아노스
- 오블완
- 카론
- medical terms
- 메티스여신
- 티스토리챌린지
- 그리스신회
- chaos
- 그리스신화
- greek myth-medical terms
- 케레스
- 그리스신화-의학용어
- lemma
- pneuma
- 그리스로마신화
- greek myth medical terms
- Today
- Total
목록제3장 올륌포스의 신 I-제우스와 형제들 (84)
그리스 신화 속 의학용어

Novae res excitant animum. - New things excite the spirit. 어느 날 바다에서 나온 포세이돈의 눈에 홀로 해변에서 조개를 줍고 있는 낯선 소녀의 얼굴이 들어왔다. 새로운 여자에 영혼이 불타오른 포세이돈은 그 즉시 높은 파도를 일으켜 외부의 시야를 가리고 그녀를 겁탈하고 말았다. 이후 마음이 느긋해진 포세이돈이 “카이니스(Caenis; 새로운 여자)”에게 소원을 말해보라고 했다. 그러자 그녀는 다시는 강간을 당하지 않도록 남자가 되고 싶다고 했다. 포세이돈은 그녀의 뜻대로 해주었을 뿐만 아니라 어떠한 무기에도 상처를 입지 않는 신체까지 덧붙여 주었다. 무려 동성애를 발명한 그리스였기 때문이다. 무적의 전사로 명성을 날릴 카이네우스(Caeneus; 새로 남자가 된..

Omnis cellula e cellula. - Every cell originates from another cell. 독일의 의사, 병리학자 Rudolf Virchow.(1821-1902), 현대 병리학의 아버지 사악한 마법을 사용하는 거인(할리아의 오빠)을 잡으러 로도스섬에 출장 온 제우스는 가능한 한 빨리 거인을 바다 밑으로 던져버리고 현지의 님프 히말리아(Himalia; 풍작의 여신)와 잠시−헤라의 의심을 사지 않는 범위 내에서 즐거운 시간을 가졌다. 히말리아가 비슷한 이름을 가진 할리아와 동일인이었는지 여부는 확실하지 않다. 그녀가 낳은 제우스의 세 아들 스파르타이오스(Spartaios; 뿌리는 자)와 크로니오스(Kronios; 크로노스−시간의 후손), 퀴토스(Kytos; 빈 방에 저장하는 자..

Rhodos, insula solis - Rhodes, the island of the sun 로도스섬의 한 님프가 포세이돈의 눈에 띄었다. 님프의 아버지나 오빠들이 언제 몽둥이를 들고 들이닥칠지 몰랐으므로 바다의 신의 짧지만 강렬한 성행위는 높은 파도를 일으켰고, 그 결과 바닷물에 온몸이 흠뻑 절여진 님프는 “할리아(Halia; 짠물의 여인)”라는 이름을 얻었다. 우리말의 ‘헤아리다’와 ‘세아리다’의 관계처럼 그리스어 할스(hals; 소금, 바다)의 발음이 변해서 라틴어 살(sal; 소금)이 되니까 할리아는 앞에서 언급한 할로시드나/살라키아와 같은 뜻을 가진 이름이다. 그리스어와 라틴어의 halio-(hali-), halo-(hal-)은 “염분”, “바다”의 뜻이다.halide: 할로겐화물. halo..

Ubi caseus, ibi vita - Where there is cheese, there is life. 테살리아의 공주 튀로(Tyro; 치즈녀)는 강의 신 에니페우스(Enipeus)를 짝사랑하고 있었다. 어느 날 애타는 마음을 달래며 애타게 강변을 헤매고 있는 튀로가 포세이돈의 눈에 띄었다. 튀로의 곁에 에니페우스의 모습으로 나타난 포세이돈은 산같이 높은 파도를 일으켜 주위의 시선을 가린 다음 튀로와 관계를 가졌다. 이리하여 튀로는 펠리아스(Pelias)와 넬레우스(Neleus) 쌍둥이 형제를 낳았다. 보통은 “타이로(tyro, tiro)”라고 하면 “신병” 또는 “신참”을 뜻하는데 이는 라틴어 티로(tiro; 신병)에서 유래한 것이다. 그러나 그리스의 튀로는 튀로스(tyros; 염소 젖 치즈)처..

Triton conchae sonans - Triton sounding his shell포세이돈은 암피트리테와의 사이에서 아들 트리톤(Triton; 셋째)과 딸 로데(Rhode; 장미녀女), 벤테시퀴메(Benthesikyme; 심해의 파도녀女)를 낳았다. 트리톤은 부모와 함께 심해의 황금 궁전에서 살고 있으므로 그의 이름은 아마도 “서열 3위의 바다의 신”을 의미한다. 트리톤 → 트리톤(Triton; 해왕성의 가장 큰 위성), triton(소라고둥), tritium(삼중수소), triton(삼중수소의 원자핵), Triturus(영원蠑蚖속, 도롱뇽과의 양서류) 그리스어의 trito-(trit-)는 “셋째”의 뜻이다.third degree burn: 삼도열상tritanopia: 청색맹, 제삼색맹. trit-..

Regina Aquarum Salsarum - Queen of Salt Waters 로마신화에서 암피트리네는 넵투누스의 아내인 살라키아(Salacia; 바다의 여인)이다. 라틴어 살(sal; 소금)의 여자인 살라키아는 암피트리테의 별칭 '할로시드나'의 라틴어 버전이다. 넵투누스가 본디 민물의 신이었으므로 살라키아도 처음에는 그저 강과 바다가 만나는 지점의 소금기 있는 샘물의 님프였었는데 넵투누스가 점차 막강한 포세이돈과 동일시되어감에 따라 그 배우자도 덩달아 격이 높아져 바다의 여신인 암피트리테와 동등한 대접을 받았다. 살라키아가 사는 곳이 살리나(salina; 짠물의 나라)이다. 라틴어 살(sal; 소금) → 스페인어 살(sal; 소금), 불어 셀(sel; 소금, 자극적인 것, 염), 이탈리아어 살레..

Amphitrite, Neptuni uxor reginaque maris - Amphitrite, Neptune's wife and queen of the sea 암포라(amphora)는 고대 그리스에서 물이나 와인, 기름 같은 액체나 곡물을 담는 데 널리 사용되던 목이 좁고 배가 불룩한 도기陶器 항아리/단지의 일종으로 표면에는 무늬와 함께 다양한 신화의 내용을 그려 넣어 고대에 글을 읽지 못하는 사람들을 위한 종교교육을 겸하는 생활용품이었다. 무거운 단지에는 운반에 편리하도록 양쪽에 손잡이가 있었기에 amphi-(양쪽으로) + phora(나르기) → 암포라이다. 그리스어의 amphor-는 “병”, “단지”의 뜻이다.amphoric resonance: 빈병공명음amphorophony: 공동공명음 ant..

Tremor et concussio sub umbra Neptuni - Tremor and shaking under the shadow of Neptune 급작스러운 발작을 일으키는 간질(뇌전증)은 고대인에게는 수수께끼와 같은 병이었다. 도무지 뚜렷한 원인을 찾을 수 없었을 뿐 아니라, 의식상실과 함께 이상한 동작이나 행동이 저절로 일어나고, 나중에 발작했던 동안의 일을 기억하지 못했기 때문이다. 따라서 인간으로서는 원천적으로(a priori) 알 수 없는 신의 심오한 뜻이 작용한 때문으로 생각되었고, 이러한 종류의 질환을 “이에로노소스(hieronosus; 간질의 옛말)”, 곧 hieros-(성스러운, 신이 데려가는) + nosos(병)로 분류하였다. 이에 따라 현대에 사용하는 용어인 epileps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