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운명의 여신
- 우라노스
- 그리스신회
- 카론
- 그리스신화+의학용어
- 크로노스
- 그리스로마신화
- 의학용어
- 그리스신화-의학용어
- 그리스신화
- greek myth-medical terms
- medical terms
- pneuma
- medical terms의학용어
- greek myth medical terms
- chaos
- 케레스
- 티스토리챌린지
- greek myth그리스신화
- 메티스여신
- 기간토마키아
- lemma
- 라틴어
- 프로메테우스
- 오블완
- 과학용어
- greek myth+medical terms
- 로마신화
- 오케아노스
- greek myth
- Today
- Total
목록제3장 올륌포스의 신 I-제우스와 형제들 (84)
그리스 신화 속 의학용어

Fames est optimus coquus. - Hunger is the best cook. 걸신乞神은 빌어먹는 귀신이라는 뜻으로 몹시 배고파 음식을 탐하는 마음을 이르는데 그리스신화에도 정확하게 여기에 해당하는 신이 있다. 고대로부터 전쟁이 나거나 흉년이 들면 사람들은 무서운 기아를 겪어야 했고, 이러한 고통을 몰고 오는 악령이 그리스신화의 리모스(Limos; 걸신)와 로마신화의 파메스(Fames; 배고픔의 여신)이다. 그리스어의 limo-(lim-)은 “배고픔”, “식욕”의 뜻이다.limophthisis: 기아쇠약. limo- + phthisis(쇠약의 정령, 폐결핵의 옛말)limosis: 병적기아bulimia: 폭식(증), 식욕이상항진(hyperphagia). bous(소) + limos + -i..

In mensa Adephagiæ, cibus et copia abundant. - At the table of Adephagia, food and plenty abound.플루토(하데스)는 케레스의 딸 프로세르피나를 데려간 대가(신붓값)로 이탈리아반도의 끝부분에 삼각형의 섬을 만들어 케레스에게 주었다. 지하에 많은 자원을 소유한 플루토가 만든 섬의 토지는 무척 비옥하고 곡물의 여신 케레스의 축복을 받은 시칠리아섬은 많은 먹을거리를 생산하여 “그라나리움 로마이(Granarium Romae; 로마의 곡창)”이라고 불리었다. 배곯을 일이 없었던 주민들에게 배불리 먹고 마시는 일은 여신에 대한 경배였으므로 시칠리아에는 폭음과 폭식의 여신 아데파기아(Adephagia)도 있었다. ad-(가까이) + -e- +..

Deus molit molas lentes, sed molit certo. - The gods grind the millstones slowly, but they grind surely. 수확하여 말린 밀을 맷돌에 돌린다고 해서 전부 다 밀가루로 오지는 않는다. 땅에서 태어난 것은 땅으로 되돌아가려는 속성이 있다는 것이 그리스인들의 생각이었는데, 이때 최대한의 수득률收得率을 낼 수 있도록 옆에서 지켜보는 여신이 에우노스토스(Eunostus; 잘 가져오는 여신) 또는 프로뮐라이아(Promylaea; 맷돌 앞의 여신)이다. 이 여신이 데메테르인지, 아니면 데메테르를 보좌하는 또 다른 여신이었는지는 확실치 않다. eu-(잘) + nostus(귀가, 회수) → 에우노스토스pro-(앞에) + myle(맷돌, mi..

Bene sarrito, bene metes. - If you weed well, you will reap well. 이제 자라는 작물을 가꿀 차례다. 사리토르(Sarritor; 괭이질 하는 자)가 괭이로 잡초를 파내면 수브룬키나토르(Subruncinator; 솎는 자)가 뽑힌 풀의 뿌리를 뒤집어 말라 죽게 한다. 따라서 sarritor는 생물학적 제초제의 이름으로 사용된다. 데메테르의 보살핌으로 잘 자란 밀과 보리를 메소르(Messor; 거두는 자)가 추수하면, 콘벡토르(Convector; 나르는 자)가 옮긴다. 라틴어 메토(meto; 추수하다) + -tor(하는 자) → 메소르메토/메소르는 math(풀 베기)와 aftermath([전쟁/재해의] 여파, 후유증), meadow(목초지), mow(풀을 ..

Vergilius in Georgicis naturam laudat et labores hominum cum temporibus anni conformat.- In Georgica, Virgil praises nature and aligns human labors with the seasons of the year. 고대 로마의 시인 베르길리우스(버질)의 게오르기카(Georgica; 농경시農耕詩, Georgics, 29 BCE)에 따르면 많은 지역과 여러 종류의 곡물들을 한꺼번에 보살펴야 했던 케레스에게는 농경의 각 단계별로 열두 보조신들이 있었다. 사람들은 12 보조신의 단계에 맞추어 땅을 갈고 씨를 뿌려 수확을 얻고 분배했다. 게오르기카에 비하여 무려 2000년 가까이 늦은 조선 후기의 가사 농가월령..

Ceres mater alma frugum. - Ceres, the nurturing mother of crops. 로마인들은 자신들의 곡물/모성의 여신인 케레스(Ceres; 자라게 하는 여신)가 그리스의 데메테르와 동일한 여신이라고 생각하였다. 케레스 → cereal(시리얼, 곡물, 곡류), pesudocereal(유사곡물, 메밀이나 도토리처럼 벼과식물 이외의 곡물류), non-cereal staple crop(비곡물 주식, 고구마, 감자 등)케레스 → crew(크루, 승무원[전원], 팀, 조), create(창조하다), creature(창조물, 피조물) Ceres + -scent(생성, 발달) → crescent(초승달, 초승달 모양), 불어 크루아상(croissant; 초승달, 회교도의 깃발, 초승..

Xanthe semper clara - Xanthe always bright 따뜻한 봄을 가져오는 데메테르 테르마시아(Thermasia)는 “테르모스(thermos; 열나는, 따뜻한)의 여신”이라는 뜻으로 테르모스는 warm과 같은 뿌리를 가진 말이다. 테르모스 → thermos(보온병, vacuum flask), thermite(테르밋) 그리스어, 라틴어의 thermo-(therm-), -thermia, -therm, -thermal, -thermic, -thermy 는 “열”, “온기”의 뜻이다.thermal: 열-, 온도-thermalgeia: 작열통, thermoalgesiathermion: 열전자-. therm- + ion(이온)thermocauterization: 지짐, 소작燒灼. thermo..

Malum Persicum, ex Oriente deliciae. - The Persian apple, a delight from the East. 한때 제우스의 아내였던 데메테르가 홀로 세상을 떠돌자 냉큼 포세이돈이 구애하였으나 그렇지 않아도 페르세포네의 행방을 수소문하고 다니느라 머리가 복잡한 데메테르였다. 자꾸만 치근거리는 포세이돈에게서 벗어나려는 데메테르의 눈에 마침 근처의 말무리가 띄었다. 그녀는 대충 암말로 변신하여 말들 틈에 섞여버렸으나 포세이돈은 말의 신이었다. 게다가 아무리 짐승으로 변신하였다손 치더라도 신으로서의 타고난 신성과 도도한 품성만큼은 절대로 감출 수 없었기에 인간들조차도 쉽게 알아볼 수 있었을 정도로 눈에 띄었다. 포세이돈은 재빨리 늠름한 종마로 변신하여 그녀를 꼭 붙잡고 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