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그리스신화-의학용어
- 그리스신화
- 기간토마키아
- medical terms
- greek myth그리스신화
- 과학용어
- 의학용어
- medical terms의학용어
- lemma
- 그리스신화+의학용어
- pneuma
- greek myth
- 케레스
- greek myth-medical terms
- 티스토리챌린지
- 프로메테우스
- 오블완
- greek myth+medical terms
- 로마신화
- 우라노스
- 카론
- 그리스로마신화
- 운명의 여신
- 오케아노스
- chaos
- 라틴어
- greek myth medical terms
- 그리스신회
- 크로노스
- 그리스어
- Today
- Total
그리스 신화 속 의학용어
먹방의 여신 아데파기아 본문
In mensa Adephagiæ, cibus et copia abundant. - At the table of Adephagia, food and plenty abound.
플루토(하데스)는 케레스의 딸 프로세르피나를 데려간 대가(신붓값)로 이탈리아반도의 끝부분에 삼각형의 섬을 만들어 케레스에게 주었다. 지하에 많은 자원을 소유한 플루토가 만든 섬의 토지는 무척 비옥하고 곡물의 여신 케레스의 축복을 받은 시칠리아섬은 많은 먹을거리를 생산하여 “그라나리움 로마이(Granarium Romae; 로마의 곡창)”이라고 불리었다. 배곯을 일이 없었던 주민들에게 배불리 먹고 마시는 일은 여신에 대한 경배였으므로 시칠리아에는 폭음과 폭식의 여신 아데파기아(Adephagia)도 있었다.
ad-(가까이) + -e- + -phagi(먹을 것) + -ia(여자) → 아데파기아
아데파기아에 사용된 연결형 -phagia/-phagy는 “먹기 또는 그로 인한 증세”의 뜻이다. 캐나다의 세균학자 데렐(Félix d'Herelle)은 세균을 용해하는 바이러스를 발견하고 “박테리오파지(bacteriophage)”라는 명칭을 붙였으며 이를 줄여 “파지(phage, 페이지)”라고 하거나 종종 그리스문자 파이(φ)로 쓴다. 박테리아가 아니라 다른 바이러스를 감염시키는 바이러스는 “바이로페이지(virophage)”이다.
라틴어 “아드(ad; 가까이)”는 영어의 “at”이다. 이메일 주소에 사용되는 골뱅이 표시 @는 “at sign” 또는 “at symbol”로 읽으며 의학에서는 기호 "@" 를 숫자 “2”와의 혼동 우려 때문에 “at”으로 풀어쓴다.
라틴어 아드혹(ad-hoc; 이를 위하여) → ad hoc([특정 목적을 위한] 임시방편의, 즉석의, 애드혹). 이를테면 애드혹 네트워크는 통신 인프라의 지원을 받을 수 없는 곳에 설치하는 땜질용의 무선 네트워크를 말한다. 널리 통용되고 있던 이론이나 학설을 위태롭게 하는 결정적인 실험 결과가 나왔을 때 이를 무마하고 기존의 이론을 되살려 보기 위하여 억지로 덧붙이는 가설이 애드혹 가설이다.
라틴어의 ad-는 “…를 향하여”, “…에 더하여”, “근처에”의 뜻이다.
adaptability: 적응성, 순응성
adaptor: 연결기, 유도관, 적응기
addiction: 마약상습, 마약중독, 중독, 탐닉
additive action: 부가작용
adduction: 모음, 내전
adequacy: 적절도
adhesion: 부착, 유착, 붙음
adhesive: 유착-, 접착제
adjunct: 보조약
adjustable surgery: 조정수술
adjustment: 조절, 적응, 조정
adjuvant chemotherapy: 보조항암화학요법
administration: 투약, 투여
adnexa: 부속기, 부속기관
adoption: 채용, 입양
adsorption: 흡착
advanced cancer: 진행암
adventitia: 바깥막, 외막
adverse drug reaction: 약물부작용
다음은 ad-의 철자가 자음 앞에서 변화한 예이다.
abutment: 지대치支台齒, 가공의치架工義齒, bridge. a-(ad-) + -but(끝) + -ment(결과) cf) abut(…와 인접하다)
accommodation: 조절, 적응, 모음
accuracy: 정확도
affect: 정동
affective disorder: 정동장애
afferent: 들, 구심-, 수입- → efferent: 날-, 원심-, 수출-. af-(…로)/ef-(…밖으로) + -ferent(가져오는)
afferent nerve: 들신경, 구심신경 → efferent nerve: 날신경, 원심신경
affix: 부착물, 첨가물
aggressiveness: 공격성
appendage: 부속기, 부속물
appendicitis: 막창자꼬리염, 충수염, 꼬리염
appendix: 부속물, 꼬리, 곁자취
arrangement: 배열
array: 배열, 정열
arrest: 정지
cardiac arrest: 심장정지
assault: 폭행
assessment: 평가, 사정査定
assist: 보조장치
attending physician: 주치의
attendance record: 출근부
attractant: 유인물질
attribute: 속성
ad-(…근처에)/위쪽에(supra-) + renal(콩팥-, 신장-) → adrenal(부신-)/suprarenal(부신-), adrenal(신장 부근의), adrenaline(아드레날린, 흥분시키는 것), adrenaline-charged([게임, 영화] 몹시 흥분시키는), adrenaline sport(extreme sport), adrenalize(흥분시키다)
라틴어의 adreno-(adren-), -adrenal-은 “부신”의 뜻이다.
adrenal: 부신-, 콩팥위-, suprarenal → sympathoadrenal: 교감신경부신-
adrenal cortex: 부신겉질, 부신피질, suprarenal cortex
adrenal gland: 부신, 콩팥위샘, suprarenal gland
adrenal medulla: 부신속질
adrenalin: 아드레날린, adrenaline, 에피네프린(epinephrine), 에피레나민(epirenamine), adrenal + -ine → metanephrine: 메타네프린, metadrenaline
adrenergic: 아드레날린-, 아드레날린성약
adrenocorticotropic hormone(ACTH): 부신겉질자극호르몬
adrenoleukodystrophy(ALD): 부신백색질형성장애증
antiadrenergic: 항아드레날린성약, 항아드레날린성-
noradrenalin(NA, NAd, norad): 노르아드레날린, 노르에피네프린(norepinephrine, norepi, NE). normal(메틸치환기가 없는 화합물) + adrenalin
suprarenalectomy: 부신절제술
그리스어의 phago-(phag-), -phage, -phagi, -phagic, -phagically, -phagia, -phagism, -phagist, -phagic, -phagous, -phagy는 “먹기”, “마시기”의 뜻이다.
phagedenic: 침식성-
phagocyte: 포식세포
phagocytosis: 포식, 포식작용 → autophagocytosis: 자가포식, erythrophagocytosis: 적혈구포식, hemophagocytosis: 혈구포식, 혈구탐식, heterophagocytosis: 이형포식작용
phagosome: 포식소체
aerophagia: 공기삼킴증, aerophagy
anthropophagy: 식인. anthropo(인간) + phagy
aphagia: 못삼킴증
autophagic: 자가탐식-
bacteriophage: 세균파지, 박테리오파지 → phage(파지)
dysphagia: 삼킴곤란, aphagopraxia
geophagia: 흙먹기증, 토식증, geophagism, geophagy
hyperphagia: 과식증
macrophage: 큰포식세포, 대식세포 → microphage: 작은포식세포
myophage: 근육포식세포
neuronophagia: 신경포식현상
odynophagia: 삼킴통증, 연하통. odyno-(고통) + -phagia(먹기 병)
onychophagy: 손톱물기, onychophagia
polyphagia: 다식증, 대식증
prophage: 프로파지. pro-(앞서서) + bacteriophage
scatophagy: 대변먹기증, 식분증, coprophagy
tachyphagia: 속식증, 빨리먹음(증)
기원전 5세기 히포크라테스의 시대로까지 거슬러 올라가는 “오이소파고스(oesophagus; 식도)”라는 용어는 oeso-(나르기) + phagos(먹기)이다. 영국에서는 oesophagus, 미국에서는 esophagus로 쓴다.
그리스어의 esophago- (esophag-)는 “식도”의 뜻이다.
esophageal: 식도- → bronchoesophageal(기관식도-)
esophageal atresia: 식도폐쇄증
esophageal spasm: 식도연축
esophageal varix: 식도정맥류
esophagitis: 식도염
reflux esophagitis: 역류식도염
esophagography: 식도조영술
esophagus: 식도, oesophagus, gullet. pl. esophagi
gastroesophageal reflux(GER): 위식도역류
periesophagitis: 식도주위염
Gula non habet finem. - Gluttony has no end.
아데파기아의 라틴어 굴라(gula; 목구멍, 폭음폭식) → gula(목, 인후), gullet(식도), glut(실컷 먹[이]다, 공급과잉), glutton(대식가), goliard(12-13세기의 편력시인), jowl(아래턱, 턱밑살), 불어 굴레(goulet; 협로), 굴뤼(goulu; 대식가), 리골레(rigoler; 농담하다, 비웃다). 베르디의 오페라 리골레토(Rigoletto, 극중인물인 꼽추 어릿광대의 이름)
가르그(garg; 목구멍을 울리는 의성어) + 굴라 → gargle(가글)
라틴어의 glutto-(glutt-)는 “꿀꺽 삼키기”의 뜻이다.
gullet: 식도, gula, esophagus
deglutition: 삼키기, 연하, swallowing
deglutition movement: 삼킴운동, 연하운동
gargle: 양치질, 양치질제
18세기 영국의 작가 조나단 스위프트의 풍자소설 걸리버 여행기(Gulliver's Travels)에서 주인공의 첫 번째 여행지인 소인국 릴리퍼트(Lilliput)의 수학자들은 표류해온 거인의 키가 소인국 주민들의 12배이므로 그에게 12x12x12=1,728명 분의 음식과 음료를 공급해야 한다는 결론을 내린다. 주인공의 이름 걸리버는 불어 “굴라푸르(goulafre; 폭식가)”에서 비롯한 것이 다. 소인국에서 영국으로 돌아간 걸리버는 한동안 영국의 모든 것이 거대하다는 착각에 시달린다.
lilliputian hallucination: 왜소환각
라틴어 구투르(guttur; 목구멍, 대식)는 가글과 마찬가지로 목구멍을 울리는 의성어이다.
구투르 → guttural(후두음의), goiter(갑상샘종)
라틴어의 gutturo-(guttur-)는 “목구멍”의 뜻이다.
goiter: 갑상샘종, 갑상선종, 고이터, goitre, struma
exophthalmic goiter: 안구돌출갑상샘종, 그레이브스병(Graves disease)
goitrogen: 갑상샘종유발물질
guttural duct: 이관耳管
gutturotetany: 목구멍경직. gutturo- + tetany(경직)
루소르(Rusor; 시골남자)와 루시나(Rusina; 시골여자)는 텔루스(로마 신화의 가이아) 또는 케레스(로마의 데메테르)에 해당하는 이탈리아 농촌의 밀밭과 농원, 개활지를 수호하는 토착신이다. 이들의 이름은 라틴어 루스(rus; 시골, 전원, 농지)에서 온 것이다.
루스(시골) → room(방, [빈] 장소, 여지), rural(시골의), rustic(소박한, 투박한, 시골풍의)
라틴어의 rust-, rus-, rura-, ruri-는 “농촌”, “농장”, “개활지”의 뜻이다.
reamer: 구멍확장기, 골확장기, 리머
room: 방, 실
emergency room(ER): 응급실
recovery room: 회복실
rooming-in: 모자동실
rural health administration: 농촌보건행정
rural sanitation: 농촌위생
'제3장 올륌포스의 신 I-제우스와 형제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에뤼시크톤의 제 살 깎아먹기 (0) | 2025.01.28 |
---|---|
맷돌의 여신 - 물랑루즈의 여신 (1) | 2025.01.20 |
케레스의 농가월령가 II-김매기에서 사일로 저장까지 (0) | 2025.01.19 |
케레스의 농가월령가 I-쟁기질에서 심기까지 (0) | 2025.01.15 |
시리얼의 여신 케레스 (1) | 2025.01.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