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리스 신화 속 의학용어

여왕 헤라와 히어로와 헤로인 본문

제3장 올륌포스의 신 I-제우스와 형제들

여왕 헤라와 히어로와 헤로인

R2D2 in X-wing 2024. 3. 11. 10:17
반응형

Regina deorum, Juno - Hera, queen of gods

 

고대 그리스에서는 여성의 지위는 가부장에게 종속된 존재/아내에 불과했다. 따라서 여신들도 티탄 전쟁에 참여하여 같이 싸웠음에도 불구하고 제우스와 포세이돈, 하데스가 세상을 나누는 자리에 끼지 못했다. 그러나 여신들은 하드웨어에 해당하는 영토를 남자들에게 넘겨준 대신 그 영토를 운영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를 장악하는 선택을 했다.

 

크로노스와 레아의 딸인 헤라는 제우스의 누이이면서 동시에 아내이기도 했다. 따라서 헤라는 하늘의 여왕이며 올륌포스의 신과 여신들의 여왕이었다. 헤라는 거리낌 없이 자신의 권리를 주장하여 인류의 절반에 해당하는 여성에 대한 수호여신(protectress)이었고, 여성에게 무엇보다도 중요하다고 여겨진 결혼과 출산 및 가사에 관한 독점적 권리를 획득하였다.

 

라틴어 프로텍토르(protector; 수호자, 황제의 경호원) + -issa(여성) protectress(수호여신)

 

protection: 보호. pro-(앞에서) + tegere(막다) overprotection: 과잉보호

protective: 보호-, 방어-, 방호-

protective immunity: 방어면역

protective mechanism: 방어기전

protector: 지연제, 보호자, 방어물, 안전장치 radioprotector: 방사선보호장치, 방사선보호제

 

신화에서는 헤라가 제우스의 바람기를 참지 못하고 지나친 질투와 복수심에 불타는 여신로 묘사되기도 하지만, 이는 가정을 수호하는 여신으로서의 직분에 충실하였을 따름이었을 뿐 아니라 위대한 어머니 여신으로서 적절히 긁어 주는 바가지는 제우스의 호통천둥/번개와 함께 메마른 대지에 흡족한 비를 내려주는 촉진제이기도 하였다.

 

따라서 헤라는 헤라클레스를 비롯하여 제우스와 여신, 인간의 여성 또는 님프들 사이에서 태어난 숱한 그리스의 영웅들을 고난에 빠트렸는데, 오히려 이들은 헤라의 가혹한 시험을 통과함으로써 진정한 영웅으로 거듭날 뿐만 아니라 사후에는 신의 반열에 오를 수 있었다. 흔히 질투로 해석되는 헤라가 주는 시련은 영웅으로 인정받기 위한 필요조건이 되는 것으로서, 헤라(Hera; 보호의 여신)의 이름은 그리스어 헤로스(heros; 반신, 영웅, 수호자)에서 나온 것으로 라틴어 헤로스(heros; 영웅) hero(영웅)와 밀접하게 연관이 되어 있다. 제우스의 배다른 아들들을 박해하는 것으로 보였던 헤라는 숨겨진 수호여신이었다.

 

헤로스(영웅)들의 행위는 언제나 heroic(용감한, 모험적, 극단적)이었다. 19세기 중반까지 사용되었던 ‘heroic medicine’은 과감한 의료 행위와 치료, 의심스러운 효과 및 위험성을 가진 사혈과 관장, 땀빼기 등의 치료법을 말한다. 특정 질환의 치료에 실패한 경우 또는 다른 치료법이 효과가 없거나 불가능한 경우, 마지막으로 시도할 수 있는 약물(실험적이거나 임상시험 단계에 있는 약물, 부작용이나 위험성이 높을 수 있다)‘drug of last resort(DoLR; 최후의 수단 약물)’ 또는 ‘heroic dose’이다.

 

그리스어 헤로스의 여성형 헤로이네(heroine; 여성 반신/영웅)에서 히로인(heroine; 여자 영웅, 여걸)이 나왔다. 영웅이 숱한 신화와 영웅담의 주인공으로 사람들의 입에 오르내렸던 것처럼 heroine에는 소설/영화의 여주인공의 뜻이 부가되었다.

 

독일의 제약회사 바이엘사에서 개발한 모르핀 대용제를 투약하면 스스로 무한한 능력이 생긴 것같은 도취감에 빠지므로 그리스 신화의 heros + -in(“약품의 뜻으로 바이엘사가 사용하던 어미)에서 헤로인(heroin)으로 명명되었.

 

heroin: 헤로인. 디아세틸모르핀(diacetylmorphine)의 상표명

heroinism: 헤로인중독, heroinomania

왕홀과 봉헌된 제물 접시를 든 당당한 여왕 헤라. Wikipedia

기품 있는 아름다움과 함께 가정을 수호하는 외에 따로 특별한 권능을 가지고 있지는 않았어도 올륌포스의 여왕으로서의 강력한 신성은 그리스 전역에서 숭배의 대상이었다. 헤라의 상징은 부부간 사랑의 결실인 다산을 뜻하는 석류, 그리고 여왕으로서의 위엄과 우아함을 보이는 공작이었다. 헤라가 사모스섬 강가의 버드나무 아래에서 태어났기 때문에 버드나무 또한 그녀의 나무이다.

 

아마도 레아가 버드나무 아래에서 해산을 한 이유가 있을 것이다. 버드나무 껍질은 고대로부터 진통과 해열에 사용되어왔다. 그리스의 의사 히포크라테스는 기원전 5세기에 버드나무 껍질을 달인 물의 의학적 효능에 관하여 기록하였고 출산이 임박한 임산부에게 고통을 덜기 위해 버들잎을 씹으라는 처방을 내렸다. 이는 타 문화권에서도 비슷하여 과거의 불교도들이 불경을 외기 전에 버들가지(양지楊枝)로 이를 깨끗이 하던 양지질에서 양치楊齒이 되었다(양지의 일본어 요지이쑤시개/나무 끝을 두들겨 만든 칫솔라는 뜻이다).

 

19세기에 버드나무 껍질에서 추출된 결정체를 라틴어 살릭스(salix; 버드나무)에 접미사 in(약품)을 붙여서 살리신(salicin)이라고 했는데 여기서 얻어지는 살리실산(salicylic acid)을 화학적으로 합성한 약품이 아세틸살리실산(acetylsalicylic acid)이다.

 

살릭스 Salix(버드나무속), sallow(갯버들), salicin(살리신)

 

장미과의 관목인 조팝나무의 꽃과 잎에도 살리실염이 함유되어 있어서 해열 진통의 민간요법에 사용되어왔다. 독일의 바이엘사는 조팝나무(Spiraea)에서 부작용이 없는 살리실산을 추출해 헤로인을 합성한 이듬해인 1899년부터 아스피린이라는 이름으로 시장에 내놓았다.

 

독일어 아체티리어테 슈피르조이레(acetylierte Spirsäure; 아세틸살리실산) + -in(약품) aspirin(아스피린; 아세틸살리실산의 상품명)

 

1-2세기 경의 가톨릭 주교이며 나폴리의 수호성인으로 추앙받던 성 아스프레나스(Asprenas, Aspren)의 이름과 아스피린을 연관짓기도 하는데 공교롭게도 아스프레나스가 편두통의 성인인 탓이다. 아스프레나스는 고대 로마에서 널리 사용되던 이름이었을 뿐이다.

 

라틴어의 salix, salic-버드나무의 뜻이다.

salicin: 살리신

salicylate: 살리실산염

salicylic acid: 살리실산

acetylsalicylic acid: 아세틸살리실산

aspirin: 아스피린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