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리스 신화 속 의학용어

살핑크스를 든 아테나 팔라스 본문

제4장 올륌포스의 신 II-올륌포스의 12신

살핑크스를 든 아테나 팔라스

R2D2 in X-wing 2025. 3. 24. 12:28
반응형

Pallas Minerva, dea sapientiae et belli – Pallas Minerva, goddess of wisdom and war.

 

아테나가 친구 팔라스(Pallas; 창 던지는 자)와 창술을 견주던 중이었다. 팔라스의 날카로운 창끝이 아테네에게 다가가자 이를 조마조마하게 지켜보던 제우스가 참지 못하고 아이기스를 펼쳤다. 그때 순간적으로 주의가 분산된 팔라스는 오히려 아테나의 창을 피하지 못하고 큰 상처를 입고 숨을 거두고 말았다. 친구의 죽음을 깊이 슬퍼한 아테나는 팔라스 아테나를 자신의 별칭으로 삼았고, 팔라스에는 보호자또는 수호자의 의미가 생기게 되었다(라틴어 팔루스 참조). 또 다른 이야기에서는 거인족과의 전쟁에서 거인족 팔라스를 처단한 아테나가 거인의 가죽을 벗겨 자신의 몸을 보호하는 갑옷처럼 걸치고 팔라스의 날개는 자신의 발에 달았다고 한다.

 

트로이인들은 팔라스 아테나의 조각상인 팔라디온(Palladion)을 자신들의 도시를 지켜주는 수호신으로 간주하였다. 팔라디온의 라틴어 팔라디움(Palladium)은 백금족 원소명으로도 사용된다.  소행성 세레스에 이어 두 번째로 소행성 팔라스(Pallas)가 발견된 해에 새로운 원소가 발견되어 팔라듐으로 명명되었다.

아테나의 상징인 올빼미와 올리브가지가 새겨진 주화. 왼쪽은 아티카에서 만들어진 마라톤에서 페르시아의 대군에 거둔 승리를 기념하는 주화(440∼430B.C.)이고, 오른편은 현대의 유러화이다.

 

palladium: 팔라듐(46Pd)

 

아테나에게 바쳐진 별칭은 그밖에도 여러 개가 있다.

 

전쟁의 여신으로서 적진을 향해 앞장서 달려나감으로써 병사들의 사기를 높이는 아테나는 프로마코스(Promachos; 선봉)였다. 프로마코스는 pro-(앞에) + machos(수단, 도구, 권력)인데 뒷부분 마코스는 영어의 may(일 수도 있다), might(, 권력), main(세력, 요점, 본토, 주된), machine(기계), mechanic(기계공), dismay(실망) 등과 어원이 같은 단어이다.

 

main memory: 주기억장치

main retainer: 주유지장치

 

헤라클레스의 아들인 튀르세노스(Tyresnus; 우뚝 솟은)는 구부러진 양의 큰 뿔로 만든 살핑크스(salpinx; 나팔)를 가지고 우뚝 솟은 곳에 올라가 살피다가 적이 오면 살핑크스로 신호를 하는 방법을 생각해냈다.

 

튀르세노스 라틴어 투리스(turris; ), tower(), turret(성 꼭대기의 작은 탑, [전함, 탱크의] 회전포탑), 불어 투르(tour; , 종루). 또한 라틴어 투리스는 이탈리아 중서부의 옛 나라 이름 에트루리아(Etruria), 이탈리아의 도시명 토스카나(Toscana, 영어명 Tuscany)와 연관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투리스() + cephalus(머리) + -ia() turricephaly(뾰족머리증, oxycephaly의 옛 명칭)

 

이탈리아인의 성 토리첼리(Torricelli)는 라틴어 "투리쿨라(turriculla; 작은 탑) 근처에서 사는 자 또는 일하는 자"에서 유래한 것이다. 이탈리아의 물리학자 토리첼리(Evangelista Torricelli)는 압력의 단위 Torr에 이름을 남겼다: 1 Torr = 1 mmHg = 1/760 atm

 

튀르세노스의 아들 헤겔레오스(Hegeleos)는 그의 사촌 테메노스(Temenos)에게 살핑크스 부는 법을 알려주었고, 살핑크스를 들고 전쟁터에 나간 사촌 형제는 적진을 가르는 대승을 거두었다. 따라서 테메노스는 가르는 자”, 그리고 사자처럼 용맹하게 나서서 지휘를 한 헤겔레오스는 헤게몬(hegemon; 지휘관) + 레온(leon; 사자)”이다.

 

혼란과 소음의 극치인 전장에서 살핑크스 신호의 유용함을 깨달은 헤겔레오스는 아테나 신전을 세우고 여신에게 나팔을 바쳤기에 아테나는 살핑크스(Salpinx; 나팔의 여신)로 불리었다. 이로부터 사람들은 전쟁에 나선 아테나가 살핑크스를 들고 소리높이 붊으로써 전투 개시를 알리고 또 전투를 지휘한다고 생각했다. 살핑크스는 인체 내에서 구부러진 관(자궁관, 귀인두관)을 의미하는 용어로 사용된다.

 

그리스어의 salpingo-(salping-)은 “나팔 모양의 관”의 뜻이다.

salpingitis: 자궁관염, 난관염, 귀인두관염

salpinx: 관, 튜브, 자궁관(uterine tube), pl. salpinges

endosalpingitis: 자궁관내막염

hydrosalpinx: 물자궁관증

hysterosalpingography(HSG): 자궁자궁관조영술, 자궁난관조영술, hysterosalpingogram

myosalpingitis: 자궁관근육염

parasalpingitis: 자궁관주위염

 

Aegis Minervae cum capite Gorgonis – The aegis of Minerva with the head of the Gorgon.

 

무시무시한 고르곤(메두사)의 머리를 투구에 달고 출전하는 아테나에게는 고르골라파스(Gorgolaphas; 고르곤의 볏을 단 여신)라는 별칭이 있었다.

 

gorgon(고르곤) + lophos() 고르골라파스

 

그리스어의 lopho-(loph-), lophio-(lophi-)는 “볏”, “쿠션의 장식술”의 뜻이다.

Lophiiformes: 아귀목目

lophotrichous: (박테리아의 편모) 말총모양-. lopho- + -trichous(머리털)

 

거인족 기간테스와의 전쟁에서 아테나는 기간톨레테이라(Gigantoleteira; 기간테스를 지워버린 여신)이라는 명예로운 타이틀을 획득했다.

 

giganto-(거인을) + leteira(닦아내기) 기간톨레테이라

de-(들어내는) + leteira delete(삭제하다), indelible(지울 수 없는, 지워지지 않는)

영화 쥬라기공원에 나오는 딜로포사우루스(dilophosaurus)는 쥐라기 초기의 대형 공룡으로 “두 개의(di-) 볏(lophos)을 단 공룡(dinosaurus)”라는 뜻이다. Wikipedia

 

라틴어의 dele-, deli-는 “파괴하기”, “없애기”, “(흔적을) 지우기”의 뜻이다.

deletion: 결손, 결실, 삭제

gene deletion: 유전자결손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