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라틴어
- 그리스신회
- pneuma
- 그리스신화
- greek myth+medical terms
- 우라노스
- 오케아노스
- greek myth
- 케레스
- 의학용어
- 프로메테우스
- 크로노스
- medical terms
- 운명의 여신
- 카론
- lemma
- greek myth medical terms
- greek myth-medical terms
- 로마신화
- 과학용어
- chaos
- 오블완
- 메티스여신
- 그리스신화+의학용어
- greek myth그리스신화
- 그리스로마신화
- medical terms의학용어
- 기간토마키아
- 티스토리챌린지
- 그리스신화-의학용어
- Today
- Total
그리스 신화 속 의학용어
초록빛 바닷물 빛 눈의 여신 글라우코피스 본문
Noctua sapientiae – The owl of wisdom
아테나는 올륌포스에서 여왕 헤라, 미의 여신 아프로디테와 함께 세 손가락 안에 들 정도로 빼어난 미모를 가진 것으로 유명하다. 물론 올륌포스의 미 콘테스트에 출전 자격은 12주신에 속하는 6 여신에게만 있었을 것이므로 너무 아름다웠던 나머지 인간과 결혼해야만 했던 테티스나 매력의 3 여신 카리테스들은 나서지 못했고, 딸 페르세포네의 행방을 몰라 애를 태우느라 초췌해진 데메테르와 부끄럼을 타는 헤스티아, 사냥에만 몰두하여 땀과 먼지투성이인 아르테미스를 제외하면 셋만 남는 것이기는 하다.
그리스의 호메로스를 비롯한 많은 시인들은 아테나에게 “글라우코피스(glaukopis; 빛나는 눈의 처녀)”라는 수식어를 바치며 그 아름다움을 찬미했다.
글라우코스(glaukos; 햇빛에 빛나는 바다 같은) + 옵스(ops; 눈) → 글라우코피스
나중에 글라우코스에는 “청록 물빛”의 뜻이 추가되고 아테나의 나무인 올리브 잎의 “청록색”을 가리키게 되었다.
글라우코스 → glaucous(연한 청록색/황록색의, 자두/포도 등이 흰 가루로 덮인)
글라우코스 + 옴마(omma; 눈) → glaucoma(녹내장). 본디 녹내장과 백내장을 통칭하던 용어인 glaucoma는 1705년에 이르러 백내장(cataract)과 구분하기 시작하였다.
아테나의 것처럼 빛나는 눈을 가진 새가 글라욱스(glaux; 올빼미)이다.
부리부리한 눈을 뜨고 야간에 활동하는 올빼미는 어둠 속에서 지혜의 빛을 찾아내는 여신과 동일시되어 종종 아테나의 머리 위나 어깨에 앉아있으며 심지어 초기 신화의 아테나는 올빼미의 날개와 갈고리발톱을 가진 모습의 여신으로 묘사되기도 했다.
특히 그리스를 비롯한 유럽 남부에서 찾아볼 수 있는 금눈쇠올빼미(little owl)−황금빛 눈을 가졌다−는 아테나의 새로 Athene noctua라는 학명이 붙어 있어서 직역하면 “아테나의 올빼미” 또는 “밤의 올빼미”라는 뜻이다.
여신 아테나 → Athene(금눈쇠올빼미속)
라틴어 녹스(nox 밤) → 녹투아(noctua; 밤의 새, 올빼미)

기원전 44년 3월 15일−율리우스 가이사르의 암살일−에 금눈쇠올빼미가 대낮에 우는 이변을 보였던 것은 암살에 대비하라는 미네르바(아테나) 여신의 전언이었다.

올빼미는 본디 무리를 짓지 않는 새인데 간혹 올빼미의 집단이 눈에 띄는 경우 이를 지혜로운 사람들의 모임인 의회(parliament)에 빗대 “parliament of owls”라고 한다.
그리스어의 glauco-(glauc-)는 “은색”, “회색”, “청록색”의 뜻이다.
glaucoma: 녹내장
steroid-induced glaucoma: 스테로이드녹내장
glaucomatous: 녹내장- → antiglaucomatous: 항녹내장-
aglaucopsia: 녹색맹, aglautopsia, deuteranopia
스파르타의 전설적인 입법자 뤼쿠르고스(Lycurgus)는 적들의 기습을 받고 한쪽 눈을 잃은 채 간신히 도망칠 수 있었다. 나중에 뤼쿠르고스는 그 장소에 다른 눈까지 잃는 화를 면하게 해준 혜안慧眼의 여신 아테나에 대한 감사의 표시로 아테나 옵쌀미티스(Ophthalmitis; 눈의 여신) 사원을 세워 바쳤다.
옵쌀모스(ophthalmos; 눈알) + -itis(…에 관한) → 옵쌀미티스, 여성형 접미사 -itis는 때에 따라서 “…에 관한 따끈한 감각”이라는 뜻이 되므로 의학에서 옵쌀미티스는 “눈염증”이라는 병명이 된다.
op-(눈) + thalamos(내실內室) → ophthalmos(눈)
갈레노스는 뇌의 깊숙한 곳에 자리 잡은 달걀 만한 부위에서 동물의 정신을 시신경으로 내보낸다고 생각하고 이를 “탈라무스 옵티쿠스(thalamus opticus; 시각내실)”로 명명하였다. 이것이 오늘날 후각 이외의 모든 감각과 연관이 있는 이 부위를 thalamus(시상視床)이라고 하는 연유이다. 그러나 갈레노스 이후 철학적 추론−이를테면 인간의 영혼이 존재하는 부위가 어디인가 따위에만 치우친 해부학은 무려 1,300여 년 동안이나 퇴보와 정체만을 보였다.
epi-(…에, …의 위로) + thalamus([신혼의] 침실) → epithalamium(축혼가)
epi-(…에, …의 위로) + thalamus(시상) → epithalamus(시상상부)
그리스어의 ophthalmo-(ophthalm-), -ophthalmia, -ophthalmic, -ophthalmos는 “시력”, “눈(알)”의 뜻이다.
ophthalmecchymosis: 결막밑출혈, 결막하출혈. ophthalm- + ecchymosis(얼룩출혈)
ophthalmia: 눈염증, 안염, ophthalmitis
ophthalmic: 눈-
ophthalmitis: 눈염증, 안염
ophthalmologist: 안과의사
ophthalmology: 안과학. ophthalmo- + -logy(연구)
ophthalmometer: 각막곡률계, 각막계, keratometer
ophthalmometry: 각막곡률측정(법), keratometry
ophthalmopathy: 눈병증
ophthalmoplegia: 눈근육마비
ophthalmorrhexis: 안구파열. ophthalmo- + -rrhexis(파열)
ophthalmoscope: 검안경, 눈보개
ophthalmoscopy: 검안경검사, 눈보개검사
ophthalmostasis: 안구고정
anophthalmia: 눈없음증, 무안구증
endophthalmitis: 눈속염, 안구내염
enophthalmos: 눈알꺼짐증, 안구함몰 → exophthalmos: 눈돌출(증), 안구돌출(증), ophthalmoptosis
exophthalmic goiter: 안구돌출갑상샘종, 안구돌출방패샘종
lagophthalmos: 토끼눈(증), 토안(증). lagoos(산토끼) + ophthalmos. 산토끼는 눈을 뜨고 잔다는 속설에서
parophthalmia: 눈주위염, periophthalmitis
xerophthalmia: 눈마름증, 안구건조증. xerophthalmus. xero-(마른) + ophthalmia(눈병)
그리스어의 thalamo-(thalam-)은 “내실”, “침실”, “시상”, “꽃받침”의 뜻이다.
thalamotomy: 시상파괴(술)
thalamus: 시상, 꽃받침 → epithalamus: 시상상부, hypothalamus: 시상하부, prethalamus: 시상앞부위, subthalamus: 시상밑부
hypocretin: 하이포크레틴(각성, 식욕 조절 뉴로펩티드), orexin. hypothalamus + secretin(세크레틴)
chemothalamectomy: 화학시상절제술
hypothalamic: 시상하부- → subthalamic: 시상밑부-
'제4장 올륌포스의 신 II-올륌포스의 12신'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공대 여신의 증기기관 (0) | 2025.03.29 |
---|---|
살핑크스를 든 아테나 팔라스 (0) | 2025.03.24 |
철벽의 가슴가리개 이지스 (0) | 2025.03.11 |
아티카의 아테네 - 뼈 때리는 아스테이즘의 도시 (0) | 2025.03.05 |
아크로폴리스의 여신 (0) | 2025.03.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