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그리스신회
- greek myth medical terms
- 메티스여신
- medical terms의학용어
- 프로메테우스
- 오블완
- 운명의 여신
- pneuma
- 티스토리챌린지
- greek myth-medical terms
- 그리스신화
- chaos
- greek myth그리스신화
- 우라노스
- 그리스로마신화
- 크로노스
- greek myth+medical terms
- 그리스신화+의학용어
- greek myth
- medical terms
- 케레스
- 의학용어
- lemma
- 그리스신화-의학용어
- 라틴어
- 과학용어
- 오케아노스
- 로마신화
- 카론
- 기간토마키아
- Today
- Total
그리스 신화 속 의학용어
공대 여신의 증기기관 본문
Minerva Polias urbem protegit. – Minerva Polias protects the city.
쳐들어온 외적으로부터 폴리스의 성벽을 지켜주는 수호신으로서 아테나는 폴리오코스(Poliouchos; 폴리스의 수호자), 그리고 아크로폴리스의 내성을 수호하는 여신으로서 폴리아스(Polias; 폴리스의 여신)라고 했는데, 특히 더 이상 피할 곳이 없는 아크로폴리스에서는 젖 먹던 힘까지 짜내 저항해야 했기에 여신에게는 스테니아스(Sthenias; 힘의 여신)라는 타이틀이 부가되었다.
스테니아스 → sthenic(건장한, [심장/동맥] 병적으로 활발한), asthenic([병리] 무력증의, 무력증의 사람)
그리스어의 stheno-(sthen-), -sthenia, -sthenic은 “힘”, “체력”의 뜻이다.
sthenia: 강장(신체의 활력이 넘치는 상태), 항진
sthenic fever: 항진성열
sthenometer: 근력계, 근력측정기
calisthenics: 맨손체조, 미용체조, 유연체조, cali-(예쁜) + -sthenic
hypersthenia: 이상흥분, 긴장과다증 → hyposthenia: 쇠약상태, 쇠약
hyposthenuria: 저비중뇨증
normosthenuria: 정상뇨배설. normo-(정상) + sthen- + -uria(소변)
그리스어의 astheno-(asthen-), -asthenia, -asthenic은 “힘이 없는”의 뜻이다.
asthenia: 무력증無力症, 힘없음증
asthenia diathesis: 무력체질
asthenia universalis: 전신무력(증)
asthenope: 눈피로환자
asthenopia: 눈피로, ophthalmocopia
asthenospermia: 정자무력증
leiasthenia: 평활근무력증平滑筋無力症
myasthenia: 근(육)무력증 → hemiamyosthenia: 반근육무력증, 편측근무력증
myasthenia gravis: 중증근(육)무력증
myasthenic: 근무력증- → antimyasthenic: 항근무력-, 항근무력제
myxasthenia: 점액분비결핍증. myx-(점액) + asthenia
neurasthenia: 신경쇠약(증) → neurastheniac: 신경쇠약환자 cf) Americanitis(미국병, 신경쇠약의 별칭, 미국인이 특히 신경쇠약에 취약하다는 생각에서)
psychasthenia: 정신쇠약(증)
somasthenia: 신체쇠약. soma-(몸) + -asthenia
thrombasthenia: 혈소판기능저하증
기술자와 숙련공의 수호신으로서 아테나는 에르가네(Ergane; 일의 여신)였다. 그리스어 에르곤(ergon; 일)은 에너지(energy), 에르그(erg; 일의 단위)와 같은 단어를 만든다. 다만 단위로서 에르그는 너무 작아서 보통은 줄(Joule)을 사용한다(1J=10^7erg).
마법 같은 기계장치와 기술의 여신으로서의 아테나는 메카니티스(Mechanitis)였다. 현대의 공대여신이다. 메카니티스와 이의 도리스 방언인 마카니티스(Machanitis)는 각각 메카닉(mechanic; 기계공)과 머신(machine; 기계)이 된다.
제우스 신전의 입구에는 헤론(Heron)이 고안한 주화를 넣는 성수 자동판매기, 그리고 내부의 신상에는 천둥소리를 내면서 몸의 일부분을 움직여 신도들을 놀라게 하여 자발적인 헌금을 유도하는 증기기관이 숨겨져 있기도 했다. 고대인에게 이러한 기계장치는 신의 강림이나 마법으로 간주되었다.

Magus scientia et arte pollens. – A magician powerful in knowledge and skill.
메카니티스 → 라틴어 마구스(magus; 마법사, 마기승僧[고대 조로아스터교敎의 승려], “메이거스”로 읽음), Magi(예수 탄생을 축하하러 간 3명의 동방박사, 단수형은 Magus), 마가(maga; 여자 마법사, 마녀), 매직(magic)
마기(magi; 마구스의 복수형, “메이자이”로 읽음) → the Magi(예수 탄생을 축하하러 간 3인의 동방박사)
그리스어의 mechano-(mechan-)은 “기계”, “장치”의 뜻이다.
machine: 기계, 기
heart-lung machine: 심장-허파 기계
hemodialysis machine: 혈액투석기계
powdering machine: 분쇄기
magic bullet: 마법의 탄환(병원균이나 암세포만을 파괴하는 특효약)
mechanics: 역학, 기계학 → biomechanics: 생물역학, 생체역학 cf) mechanic(기계공)
mechanism: 기전, 메커니즘
defense mechanism: 방어메커니즘
mechanoreceptor: 기계수용체
참고) 신약성서의 사도행전에 언급되는 마술사 시몬 마구스(Simon Magus)는 그리스도교 세례를 받았으나 영적 권능을 돈으로 살 수 있는지 물었다가 베드로에게 크게 질책을 받았다. 이로부터 simony(성직매매)가 생겼다.
고삐를 사용함으로써 비로소 말과 소를 길들일 수 있었던 인간은 이런 획기적인 발명품을 더듬어 올라가면 당연히 신의 손길과 닿을 거라고 여겼다.
아테나는 친히 천마 페가수스에 고삐를 매어 젊은 영웅 벨로로폰에게 건네주었다고 하는데, 칼리니티스(Chalinitis; 고삐의 여신)는 칼리노스(chalinos; 고삐)를 발명한 여신 아테나의 별칭이다. 칼리노스는 끈에 칼라자(chalaza; 작은 매듭, 우박)를 지어 만드는 것이다.
칼라자 → chalaza(알 속 난황과 막을 연결하여 고정하는 끈), chalazion(콩다래끼)
묶는 칼라자와는 반대인 그리스어 칼란(chalan; 풀림)에서 칼라시아(chalasia; 위의 괄약근이 열리는 증상)와 칼론(chalone; 생리 활동을 억제하는 내분비 물질)이 나왔다.
chalasia: 들문이완증, 분문이완증 → achalasia: 이완못함증, 이완불능증
chalaza: 칼라자, 알끈
chalazion: 콩다래끼, 산립종, meibomian cyst. pl. chalazia cf) hordeolum(맥립종, 다래끼)
chalone: 칼론, 유사분열억제물질
칼라자와 마찬가지로 영어의 bridle(말굴레)은 braid(꼰 끈, 땋은 머리)에서 온 것이다.
bridle effect: 고삐효과, 제어효과
bridle suture: 고삐실, 제어사
debridement: 죽은조직제거술, 가장자리절제술
참고) 콩다래끼(chalazion)의 다른 말인 “마이봄낭(meibomian cyst)”은 독일의 의사 마이봄(Heinrich Meibom, 1638-1700)의 이름에서 비롯한다. 마이봄이 눈꺼풀에서 발견한 피지선이 meibomian glands(tarsal glands, 눈꺼풀판샘)이다.
아테나는 각종 그릇을 만드는 도공들의 수호신이었다. 찰흙으로 그릇을 빚은 도공들은 가마에 불을 넣기 전 아테나에게 제물을 올리며 여신의 강림을 기원하였다. 아테나가 가마에 손을 올리고 축복해준 가마에서 알맞은 온도에 잘 구워진 그릇들은 좋은 값에 팔려나갔으나, 여신의 보호가 없는 가마에는 다이모네스 케라미키(Daimones Keramici; 그릇 귀신)가 들어와 행패를 부렸으므로 가마 안의 그릇들이 전부 깨지거나 금이 가기도 하고, 시꺼멓게 타지 않으면 설 구워져 큰 손실을 입기 마련이었다.
그리스어 케라모스(keramos; 도자기용 점토, 도자기) → ceramic(도자기, 요업), ceramic glaze(유약)
ceramic: 세라믹 cf) bioceramic(바이오세락믹, 생체용 세라믹)
ceramic prosthesis: 세라믹인공삽입물
아테나의 수식어 중 하나인 “악시오포이노스(Axiopoenos; 반드시 원수를 갚아주는)”는 axios(주요한) + poenos(징벌자)이다.
그리스어 악시오스(주요한) → axiology([철학] 가치론), axiom(자명한 이치, 공리公理, 격언)
그리스어의 axio-(axi-)는 “중요한”의 뜻이다.
axiom: 공리
chronaxie: 크로낙시, 근육수축전류최소시간. chrono-(시간) + axie
델포이의 아폴론 신전으로 들어가는 입구에는 아테나의 예배실이 마련되어 있었다. 이러한 공간을 프로나오스(Pronaos; 어귀) 또는 프로스타스(prostas; 앞 건물)라고 하며, 이곳의 아테나의 별칭이 프로나이아(Pronaea; 입구를 지키는 여자, 경비원, 수호자)이다.
신전에 들어가는 사람은 프로나오스에서 옷매무새를 단정히 해야 했으므로 프로나오스에 해당하는 라틴어인 베스티불룸(vestibulum; 현관, 입구)은 베스티스(vestis; 의복) + 불룸(-bulum; 장소)이다. 베스티스는 영어의 wear와 뿌리가 같은 말이다.
프로나오스 → pronaus(질어귀/질전정前庭의 옛말)
베스티불룸 → vestibule(전정)
베스티스 → vest(조끼, 내의), divest벗기다, 박탈하다, 처분하다), exuviae([곤충/뱀] 허물, 잔해), investiture(관직수여, 자격부여), invest(투자하다, [권력] 부여하다, 입히다, 뒤덮다), revetment(옹벽, 방벽), bulletproof/ballistic vest(방탄조끼)
라틴어의 vestibule는 “방/공간의 앞”의 뜻이다.
vestibular: 안뜰-, 전정- → cochleovestibular: 달팽이안뜰-, 속귀-
vestibule: 어귀, 안뜰, 전정, vestibulum
membranous vestibule: 막안뜰
vestibule of vagina: 질어귀, 질전정, vulval vestibule, vulvar vestibule
vestibulitis: 안뜰염, 전정염 → laryngovestibulitis: 후두안뜰염, 후두전정염
vestibulocochlear nerve: 속귀신경
vestibuloplasty: 입안안뜰성형술, 구강전정성형술
scala vestibuli: 안뜰계단
라틴어의 -blum과 이의 복수형인 -bla는 “그릇”의 뜻이다.
acetabulum: 절구, 비구, 배빨판, 복흡반
infundibulum: 깔때기(부분), 누두(부), 동맥원뿔 → infundibular: 깔때기-, 누두-
라틴어의 vesti-(vest-)는 “두르는 것”, “의복”의 뜻이다.
exuviation: 탈피, 탈각
investing: 감싸기, 피복, 싸는, 얕은
investment: 피복제, 매몰제
transvestism: 의상도착증, 이성복장도착증 cf) transvestite(복장도착자)
wear and tear dermatitis: 반복자극피부염
extended-wear contact lens: 연속착용콘택트렌즈, 연속착용접촉렌즈
'제4장 올륌포스의 신 II-올륌포스의 12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용광로의 주인 헤파이스토스 (0) | 2025.04.12 |
---|---|
처녀신의 스캔들 (0) | 2025.04.07 |
살핑크스를 든 아테나 팔라스 (0) | 2025.03.24 |
초록빛 바닷물 빛 눈의 여신 글라우코피스 (0) | 2025.03.17 |
철벽의 가슴가리개 이지스 (0) | 2025.03.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