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의학용어
- 크로노스
- greek myth
- 그리스신화-의학용어
- greek myth medical terms
- greek myth그리스신화
- 카론
- 오블완
- 케레스
- 우라노스
- 운명의 여신
- 과학용어
- 그리스신회
- 그리스신화+의학용어
- greek myth-medical terms
- 메티스여신
- lemma
- chaos
- 그리스로마신화
- medical terms의학용어
- 라틴어
- 오케아노스
- 로마신화
- greek myth+medical terms
- 프로메테우스
- 기간토마키아
- 티스토리챌린지
- pneuma
- 그리스신화
- medical terms
- Today
- Total
그리스 신화 속 의학용어
처녀신의 스캔들 본문
Quod licet Iovi, non licet bovi. - What is allowed to Jupiter (gods) is not allowed to a bull (common person). 帝王無恥
처녀가 애를 배도 할 말이 있다는데 심지어 처녀신 아테나에게 아들이 생겼다. 남의 말하기 좋아하는 아테네의 사람들이라도 자신들의 수호신의 스캔들에 할 말을 잃었지만 아테나에게도 할 말은 있었다.
대장장이의 신 헤파이스토스는 아름다움의 여신 아프로디테와 결혼을 하기는 하였으나, 젊고 아름다운 아내는 일에만 몰두하는 남편을 무시하듯 밖으로만 돌아다녔다. 이에 헤파이토스는 그의 대장간에 자주 들러 새로운 기계 장치에 관한 의견도 나누고 사려 깊게 말을 받아 주는 아테나에게 연정을 품게 되었다. 사실 제우스가 머릿속에서 아테나를 만들어낸 데에 분노한 헤라가 남자와의 관계없이 만들어 낸 자식이 헤파이스토스니까 둘 다 단성생식의 결과라는 비슷한 처지였고, 둘 다 기술과 공예를 담당하는 신이었으므로 만나서 전문적인 대화를 나눌 기회도 많았다. 또한 지혜의 여신은 아프로디테에 못지않게 빼어난 미모를 가졌을 뿐 아니라 아프로디테로서는 전혀 이해하지 못하는 수학과 과학 기술을 논할 수 있는 지성을 갖추고 있었다.
어느 날 헤파이스토스는 자신의 작업장을 방문한 아테나와 머리를 맞대고 새로운 기술을 논하다가 불현듯 욕정을 이기지 못하고 여신을 눕히려 들었다. 그러나 다리가 부실했던 대장장이는 깜짝 놀란 아테나가 몸을 돌리는 바람에 같이 넘어지면서 그만 여신의 허벅지를 오염시키고 말았다. 헤파이스토스가 아내인 아프로디테에게 무시를 당하는 것도 이유가 있었던 셈이다.
라틴어 에야쿨리티오 프라이콕스(ejaculatio praecox: 조루증) → premature ejaculation
ex-(밖으로) + jaculatio(쏘기, 던짐, 발사) → ejaculation(사정)
라틴어 야키오(jacio; 던지다, 발사하다) → jet(분사, 분출, 제트기), gist(요점, 골자), 불어 주테(jete; 발레의 스텝)
ad-(…로) + jacio → adject(덧붙이다), adjective(형용사)
in-(안으로) + jacio → inject(주사/주입하다, [궤도에] 쏘아올리다)
ob-(가로막아) + jacio → 라틴어 오벡스(obex; 빗장, 장애), obex(빗장, 문, 제4뇌실 아래의 좁아지는 부위), object(물건, 물체, 이의를 제기하다), objection(이의, 반대), objectively(객관적으로), 불어/영어 오브제(objet: 물체, 대상), 오브제 다(objet d'art; 공예품)
sub-(아래) + jacio → subject(대상, 주제, 학과), subjectively(주관적으로)
trans-(가로질러) + jacio → trajectory(궤적, 탄도, 궤도)
라틴어의 jet-, -ject, -jecting, -jected, -jection, -jector, -jectory, jacu-, jac-는 “던지다”, “날리다”, “분출하다”의 뜻이다.
jactatio capitis nocturna: 잠들때머리흔듦, 야간두부반전, rhythmic movement disorder (RMD)
jactitation: (열병/경련으로) 뒤척거림, 흔들기 cf) jactitation(사칭, 허풍)
jet: 분사기
jet injection: 분사주사
jet lag syndrome: 비행시차증후군
dejection: 배변, 배출, 우울, 낙담. de-(아래로) + -ject(던지다)
ejaculate: 사정(액)
ejaculation: 사정
premature ejaculation(PE): 조기사정(조루증)
retarded ejaculation: 지연사정, delayed ejaculation
retrograde ejaculation: 역행사정
ejaculatory duct: 사정관
eject: 분출물. ex-(밖으로) + -ject
ejecta: 배설물, 분비물. 단수형은 ejectus
ejection: 분출, 박출
injection: 주입, 주사, 충혈. in-(안으로) + -jection
booster injection: 추가주사, 추가접종
injector: 주사기, 주입기 → microinjector: 미량주입기
interjectional speech: 감탄성 언어 cf) interjection(감탄사)
obex: 빗장
object: 대상
objective: 목적, 객관-, 대물렌즈(objective lens)
project: 과제, 사업
projectile vomiting: 분출구토
projection: 투사, 투영
rejection: 거부
rejection reaction: 거부반응
transplant rejection: 이식거부반응
subject: 대상, 환자, 주제
subjective: 자각-, 주관-
subjective symptom: 자각증상
subjective well-being(SWB): (심리학) 주관적 안녕감, 주관적 웰빙
에네마(enema; 관장)는 injection의 그리스어이다.
enema: 관장, 관장제, 관장액. pl. enemata/enemas
barium enema: 바륨관장
enema apparatus: 관장기, enemator
라틴어 야키오(jacio; 던지다, 발사하다)/야케오(jaceo; [던져져] 가로눕다) → gist(요지, 골자), 음악 용어 adagio(느리게)
라틴어의 jacent-, jacen-는 “눕기”, “쉬기”이다.
adjacent: 인접한
superjacent: 바로위-, 직상- → subjacent: 바로밑-, 직하-
아테나는 얼굴을 찡그리며 그녀의 무릎−음부에 묻은 정액을 손으로 긁어 바닥에 버렸는데, 이는 엉뚱하게도 대지의 여신 가이아를 수태시키고 마는 결과를 가져왔다. 그렇지 않아도 연이은 출산에 지친 나머지 남편인 우라노스마저 쫓아냈던 가이아였다. 가이아는 다시금 원치 않던 임신을 하게 되어 화가 머리끝까지 났지만, 어찌 됐든 밀밭에서 에리크토니오스(Erichthonius; 흙먼지 속에서 태어난 골칫덩이)를 낳았다. 나이 든 가이아는 아기를 키우고 싶지 않았기 때문에 처녀신 아테나에게 아기를 뚜껑 달린 작은 바구니에 담아 떠맡겼다.

난감해진 아테나는 일단 바구니를 아테네의 아크로폴리스에 있는 자신의 집−파르테논 신전으로 가지고 가서 신전의 성녀에게 맡기고는 아기의 생물학적 아버지인 헤파이스토스를 찾아 올륌포스로 올라갔다. 그 와중에 절대로 열어보지 말라는 엄명을 남기긴 했다.
파르테논의 성녀는 아티카(아테네)의 왕 케크롭스(Cecrops)의 딸들 세 자매였다. 첫째와 둘째가 호기심을 이기지 못하고 바구니 뚜껑을 열어보려 하자 소심한 막내는 뒤로 빠졌다. 살짝 연 바구니 안에 하반신이 뱀인 아기가 있었다. 그 정도로 놀랄 일은 아니었을 것이다. 자신들의 아버지이자 아티카의 왕인 케크롭스 역시 하반신은 뱀이었으니까.
그리스어 케르코스(kerkos; 꼬리) + -ops(얼굴) → 케크콥스(Cecrops; 뱀 꼬리를 가진 자)
그리고 신화의 시대에는 그런 반인반수의 영웅이나 괴물은 그다지 드문 존재가 아니었다. 실은 가이아가 딸려 보낸 뱀이 아기를 감아 보호하고 있었던 것일 수도 있다.
다만 자매는 처녀신의 집−파르테논에 처녀신이 아기를 데리고 온 사실에 충격을 받았다. 첫째 아글라우로스(Aglaurus)가 놀라 딸꾹질을 하자 그 소리가 피리 소리처럼 들판에 울려 퍼졌다. “아글라우로스”라는 이름은 아그라울로스(Agraulus; 전원의 피리)에서 r과 l이 바뀐 이화작용(dissimilation)의 결과이다.
아그로스(agros; 밭, 땅, 전원) + 아울로스(aulos; 파이프, 피리) → 아그라울로스(Agraulus)
아그로스 → 에이커(acre, 토지의 단위), acorn(도토리), agrestic(촌스러운), agriculture(농업)
per-(멀리 떨어진) + agros(땅) → peregrine(외국의, 외지 거주자, 송골매[높이 뜬 새]), pilgrim(필그림, 순례자)
hydro-(물) + 아울로스(파이프) → hydraulic(수압/유압의, 수력학의), hydraulics(유압식기계, 수력학)
그리스, 라틴어의 agri-, agrio-, ager는 “밭”, “전원”의 뜻이다.
agricultural effluent: 농업폐수, 농업방류수
아테나의 명을 어기는 긴장감으로 얼굴에 땀방울이 맺혔던 둘째의 이름은 헤르세(Herse; 이슬)이다.

그리스어 헤르세/에르사(Ersa; 이슬)는 라틴어 로스(ros; 이슬)와 같은 말이다, 끈끈이주걱의 모상체에서 분비하는 점액은 아침 햇살에 반짝이는 이슬처럼 보이기 때문에 라틴어 로스(ros; 이슬) + 솔리스(solis; 태양의) → sun + dew(이슬) → sundew(끈끈이주걱)
ros + marinus(바다의) → rosemary(로즈메리, 꿀풀과의 허브)
자매는 너무 놀라 뒤로 펄쩍 뛰었다가 아크로폴리스의 언덕에서 떨어지고 말았다. 사람들 사이에는 자매가 미쳐서 투신하였다는 소문이 돌았다.
언니들의 신성모독을 지켜보던 막내는 두려움으로 온몸이 땀에 젖었기에 그녀의 이름은 pan(온몸의) + drosos(이슬) → 판드로소스이다. 나중에 판드로소스는 헤르메스의 연인이 된다.
그리스어의 hidro-(hidr-), -hidrosis, -hidrotic는 “땀”, “땀샘”의 뜻이다.
Drosophila: 초醋파리(속), vinegar fly, fruit fly. droso + phila(사랑)
hidradenoma: 땀샘종, spiradenoma. hidr- + adenoma(샘종, 선종)
hidrotic: 땀냄-, 발한-
anhidrosis: 땀없음증 → hidrosis: 발한發汗
anhidrotic: 땀없는-, 땀약, 지한제
bromidrosis: 땀악취증, 취한증, 액취증, bromhidrosis, osmidrosis, kakidrosis. bromo-(악취), osmo-(냄새)/kaki-(나쁜) + hidro- + -sis(상태)
dyshidrosis: 땀흘림이상, 발한이상, dysidrosis
dyshidrotic eczema: 땀흘림이상습진
hyperhidrosis: 땀과다증, 다한증, polyhidrosis → hypohidrosis: 땀저하증
urhidrosis: 요소땀증. uro-(소변) + hidro- + -sis
Una femina satis est. - One woman is enough.
땅에 전신을 붙이고 사는 뱀은 대지와 직접 연결되는 동물로 가이아는 이미 하반신이 뱀인 티탄을 비롯한 여러 자식을 낳았다. 도시 아테네를 세우고 아티카 최초의 왕이 되었다는 전설적 인물인 케크롭스는 땅(가이아)에서 태어나 뱀 모양의 하반신을 가진 인간이었다. 그는 법을 만들어 통치하고, 인간을 희생하여 신께 바치는 행위를 금하였으며(제우스에게 인육을 바쳤다가 노여움을 사 늑대가 되었다는 뤼카온의 신화에서처럼 이전에는 그리스에 인신 공양의 습속이 있었다) 일부일처제를 확립하였다. 무엇보다도 그는 도시 아테네의 소유권을 두고 포세이돈과 아테나 사이에 분쟁이 일었을 때 현명한 중재를 한 것으로 유명하다.
“케크롭스”라는 이름은 북미의 멧누에나방(cecropia moth)에 이름을 남기고 있다. 거대한 멧누에나방의 날개에는 눈(ops)과 같은 점이 있고(케크롭스의 이름 뒷부분은 “ops”), 애벌레는 뱀을 닮았다(케크롭스의 하반신은 뱀). 멧누에나방의 고치에서 처음으로 분리한 항균펩티드가 세크로핀(cecropin)이다.
헤파이스토스가 에리크토니오스를 자신의 아들로 받아들여 양육했다는 기록은 없으나 기술의 신의 씨를 가지고 땅에서 태어나 지혜와 질서의 여신의 양육으로 자라난 에리크토니오스는 아테네의 왕이 되어 인간의 진보를 이끌었다. 사상 최초로 말로 끄는 마차를 발명하였고, 쟁기를 이용하여 땅을 가는 법을 고안하였으며, 금보다 중요한 금속인 은(해독작용이 있다)의 사용법을 인간에게 가르쳤다고 한다. 흡혈귀나 늑대인간을 퇴치할 때 은 십자가나 은 탄환(silver bullet은 “묘책/특효약”의 뜻이다)을 사용하는 것처럼 은으로 만든 무기는 마법을 무력화시키는 효력이 있다는 믿음이 고대 그리스 적부터 있어왔다. 에리크토니오스는 아테나의 신전을 세웠고, 처녀신 축제를 열어 어머니인 아테나께 바쳤다.
아폴론은 에리크토니오스의 딸 크레우사(Creusa; 구멍의 여자)를 겁탈하여 아들을 낳았다. 아폴론은 이 아들을 “이온(Ion)”이라고 불렀는데, 이온의 어원은 산스크리트어 요니(yoni; 여성기, 자궁, 여음상女陰像)니까 크레우사에게서 낳았다는 뜻이다. 이온은 이오니아인의 조상이 되었다.
'제4장 올륌포스의 신 II-올륌포스의 12신' 카테고리의 다른 글
헤파이스토스 표 브로치 (0) | 2025.04.15 |
---|---|
용광로의 주인 헤파이스토스 (1) | 2025.04.12 |
공대 여신의 증기기관 (0) | 2025.03.29 |
살핑크스를 든 아테나 팔라스 (0) | 2025.03.24 |
초록빛 바닷물 빛 눈의 여신 글라우코피스 (0) | 2025.03.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