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pneuma
- medical terms
- 우라노스
- 기간토마키아
- 렘노스
- medical terms의학용어
- 케레스
- 오케아노스
- 메티스여신
- greek myth medical terms
- 그리스신화+의학용어
- greek myth-medical terms
- 그리스로마신화
- greek myth
- greek myth그리스신화
- 그리스신회
- 과학용어
- 오블완
- 그리스신화-의학용어
- greek myth+medical terms
- 크로노스
- 티스토리챌린지
- 라틴어
- 그리스신화
- 옴팔로스
- lemma
- 운명의 여신
- chaos
- 의학용어
- 로마신화
- Today
- Total
목록2025/06 (5)
그리스 신화 속 의학용어

아테네인들은 다양한 칭호와 축제들을 아르테미스에게 바쳤다. Diana, tunica brevi cincta, per nemora currit cum nymphis. - Diana, girt with a short tunic, runs through the woods with her nymphs. 키톤(chiton)은 그리스인들이 소매 없는 셔츠처럼 입던 옷이다. 직사각형의 긴 천으로 몸을 감고 어깨는 브로치로, 허리는 벨트로 고정시켰는데, “가리개”라는 본래의 의미에 걸맞게 여자들은 발목까지 천을 늘어뜨려 최대한 몸을 가리는 것이 기본적인 복식이었고 여성들의 발목 노출은 충분히 지탄받을 행위였다. 그러나 활달한 아르테미스는 키톤 자락이 사냥할 때 거치적거리지 않도록 무릎 위까지 올려서 허리띠로 묶고 ..

Sub luna, sagitta Dianae volat. - Beneath the moon, the arrow of Diana flies. 샘이 많은 아르테미스가 제우스에게 말한 소원 중에는 쌍둥이 동생인 아폴론을 능가하는 명성도 포함되어 있었다. 따라서 그녀의 이름 뒤에는 많은 수식어가 붙었다. 2001년 영국 서섹스 대학의 과학자들은 새로 발견한 유전자 DCLRE1C(DNA cross-link repair 1C)를 아르테미스(Artemis)라고 이름 지었는데 이는 주니어 소설 시리즈의 주인공 아르테미스 파울(Artemis Fowl)에서 비롯한 것이다. 아르테미스 파울은 활의 여신 아르테미스의 활 솜씨처럼 복잡하고 어려운 문제를 정확하게 해결하는 능력을 가졌으며, DCLRE1C유전자는 DNA 가닥의 ..

Diana Trivia – Diana of the Three Ways 로마신화의 달의 여신은 디아나(Diana; 여신)였다. 보통은 다이애나로 알려진 디아나에게는 3가지 측면이 있어서 천상의 루나(보름달), 지상의 디아나(상현달), 지하의 헤카테(하현달)로 나타난다고 했으므로 그녀의 별칭은 트리비아(Trivia; 갈림길의 여신)였다. 트리비아는 tri(3) + via(길)니까 본디 세 갈래 길의 갈라지는 점이다. 서로 다른 방향의 두 길이 교차해야 만들어지는 사거리와 달리 삼거리는 사람이 다니다가 갈라지는 길이면 저절로 생겨난다. 따라서 고대에는 널린 게 삼거리였고, 하찮은 게 삼거리였다. 삼거리(trivia) 스러운(-al) → trivial(하찮은) 트리비아 → trivia(사람들이 궁금해하는 여..

올륌포스의 위대한 12신 중의 하나인 아르테미스(Artemis)는 제우스와 레토의 딸로, 아폴론의 쌍둥이 누이이다. 처녀신인 그녀는 활과 화살, 사냥과 야생동물, 젊음의 여신이며 처녀성과 아직 월경이 시작되지 않은 여자아이들의 수호여신이다. Lux diei periit, cum luna solem texit. - The light of day perished when the moon covered the sun. 신기하게도 지구에서 바라보는 달과 태양의 겉보기 크기는 거의 같다. 태양의 지름이 달의 그것의 400배나 되는 대신, 지구∼태양의 거리도 우연히 지구∼달의 400배이기 때문인데, 달이 태양을 가리는 일식이 일어날 때면 두 천체가 거의 정확하게 일치하는 모습을 관찰할 수 있다. 따라서 고대인에게..

Delos erravit olim, nunc fixa quiescit. - Delos once wandered, now it rests fixed. Ovid (Metamorphoses 6.186) 델로스 포세이돈은 레토에게 몸을 풀게 해준, 사람들의 눈에 띄지 않던 섬을 굵은 기둥으로 해저에 단단하게 고정해 사람들의 눈에 띄어 찬양받도록 했다. 이 섬이 “델로스(Delos; 보이는 곳)”이다. 이후 레토는 올륌포스의 위대한 두 신-아폴론과 아르테미스의 탄생지인 델로스에 정착했고, 역사의 시대에 접어들어서까지 숭배를 받은 드문 티탄 중의 하나로 남았다. 그리고 번성하는 델로스는 아폴론의 신탁을 받는 환상과 신비의 섬이 되었다. 델리아(Delia; 델로스에서 태어난 여신, 아르테미스의 별칭) → 여자 이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