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크로노스
- 과학용어
- 오케아노스
- 메티스여신
- lemma
- greek myth
- 그리스신화-의학용어
- chaos
- medical terms의학용어
- 그리스로마신화
- greek myth그리스신화
- 의학용어
- 카론
- 운명의 여신
- 기간토마키아
- pneuma
- 그리스신화+의학용어
- 케레스
- 라틴어
- 우라노스
- 렘노스
- 티스토리챌린지
- medical terms
- greek myth medical terms
- 오블완
- greek myth+medical terms
- 그리스신화
- 그리스신회
- 로마신화
- greek myth-medical terms
- Today
- Total
그리스 신화 속 의학용어
해돋이의 여신, 석양의 여신, 램프의 여신 본문
"Lux in Tenebris" - Light in Darkness.
그리스인이 보기에 헬리오스는 바다에서 떠올라 바다로 진다. 따라서 밤에는 바다에 있게 되는 헬리오스는 바다의 뉨프 네아이라(Neaera)를 사랑하였고 그녀의 깨움에 아침이면 새로이 떠올랐다. 네아이라는 neo-(새로이) + -aero(떠오르는) + -a(여자)니까 그녀는 분명 해돋이의 뉨프이다.
헬리오스는 네아이라에게서 두 딸 람페티아(Lampetia; 밝힘)와 파에투사(Phaethusa; 빛남)를 낳았는데 이들은 네아이라와 태양신의 침실을 그윽하게 밝히는 빛의 뉨프들이었다.
람페티아는 람파스(lampas; 횃불, 등잔불, 달빛)의 뉨프이다.
람파스 → lamp(램프, 남포등), lantern(랜턴)
lampas + pyr(불) + -is(…인 것) → lampyris(개똥벌레), Lampyris(반딧불이속屬)
lampyris + -idae(…의 자손, 동물학에서는 과科) → Lampyridae(반딧불이과)
석양빛의 뉨프 파에투사 → phenomenon(현상)
네아이라의 두 딸은 이탈리아 본토에서 해지는 쪽에 있는 섬 트리나키아(Thrinacia; 삼지창, 시칠리아 또는 몰타)에서 아버지 헬리오스의 가축을 돌보는데, 람페티아는 각기 50마리로 이루어진 양 떼 일곱을, 그리고 파에투사는 각기 50마리의 일곱 소 떼를 맡았다. 일곱 가축 떼 350마리는 주 7일과 1년 50주를 나타낸다.
1773년 독일의 한 도서관에서 발견된 고대 그리스의 수학 문제는 헬리오스의 소 떼의 수를 계산하는 것으로 시칠리아의 그리스인 수학자 아르키메데스(Archimedes)가 낸 것으로 생각되어 Archimedes's cattle problem(가축문제) 또는 프로블레마 보비눔(problema bovinum; 소 떼 문제)으로 알려져 있다. 아르키메데스(“계산을 지배하는 자”의 뜻을 가진 이름이다)의 문제답게 8개의 변수와 8개의 방정식으로 이루어진 복잡한 연립방정식의 일반해는 1880년에 이르러서 알려졌다.
그리스어 네오(neo; 새로운)/라틴어 노부스(novus; 새, 새로운) → new(새로운), now(지금), novice(초보자, 풋내기), nova(신성新星), novation(갱신)
노부스 + -ellus(작은) → 노벨루스(novellus; 갓난, 햇, 풋) → novel(새로운, 참신한, [장편]소설), novella(단/중편소설), novel virus(신종바이러스), NOAC(novel oral anticoagulant; 새로운 경구용 항응고제), 불어/영어 누보(nouveau; 최근에 생긴, 참신한), 누보(Nouveau; 햇와인), 누벨(nouvelle; [불어] 뉴스, [영어] 단편소설), 누벨 퀴진(nouvelle cuisine; 현대식 프랑스 요리), 누벨 바그(La Nouvelle Vague; New Wave, 1960년대 프랑스/이탈리아 예술 형식의 전위적 경향), 누보테(nouveaute; 참신함, 새로운 것)
re-(다시) + 노부스 → renovation(수선, 쇄신, 원기회복)
in-(안에서부터) + 노부스 → innovation(혁신, 획기적인 것)
네온사인에 사용되는 기체 네온(neon; 새로운 원소)은 주기율표에서 존재가 예측되고는 있었으니 미발견인 새로운 원소라는 뜻에서 명명된 것이다.
그리스어의 neo-(ne-)는 “새로운”, “최근의”, “어린”의 뜻이다.
neocortex: 새겉질, 신피질
Neodiplostomum seoulensis: 서울주걱흡충
neologism: 신어조작증 cf) neologism(신조어)
neomycin: 네오마이신
neon: 네온. 10Ne
neonatal: 신생아-
neonatal intensive care center: 신생아집중치료실, neonatal/newborn intensive-care unit(NICU, “니큐”), intensive care nursery(ICN), 영국에서는 special care baby unit(SCBU, “스키부”)
neonate: 신생아
neonatology: 신생아학
neoplasm: 신생물, 종양, neoplasia. neo- + -plasm(형성)
neoplastic: 신생물-, 종양- → antineoplastic: 항종양제, 항신생물제, nonneoplastic: 비종양성, paraneoplastic: 신생물딸림-, preneoplastic: 종양전-
icterus neonatorum: 신생아황달
라틴어의 novo-(nov-), novi-는 “새로운”, “최근의”의 뜻이다.
new drug application: 신약허가신청
newborn: 신생아, newborn infant, newborn baby
hemolytic disease of the newborn(HDN): 신생아용혈병
novocaine feeling: 노보카인감각. novo- + -caine(국소마취제)
innovation: 혁신
red cell iron renewal rate: 적혈구철교대율
species nova: 신종
라틴어 눈티우스(nuntius; 노부스[새 소식]를 알리는 자 → 전령) → 눈치오(nuncio; 로마교황의 대사), announce(발표하다), preannounce(예보하다), denounce(비난하다, 탄핵하다), enunciate([또렷이] 발음하다, [이론/생각을 명확히] 밝히다), pronounce(발음하다, 선언하다), renounce(포기를 선언하다)
라틴어의 nounc-, nunci-, nunti-는 “알리는 자”, “발표”의 뜻이다.
internuncial: 사이-, 개재-
interneuron: 사이신경세포, 개재뉴런, internuncial neuron
그리스어의 lampro-(lampr-)는 “밝은”, “맑은”의 뜻이다.
lamp: 등
lamprophonia: 음성명료성
lantern: 랜턴, 칸델라, 환등기
eclampsia: 자간증子癎症. 임신 중이나 분만 전후에(子) 경련 발작(癎)을 일으키는 증세(症). ec-(밖에서) + -lampsia(빛 보임 증)
preeclampsia: 자간전증, 전자간증. 임신중독증(toxemia of pregnancy)을 대체하는 용어. 순간적으로 번쩍이는 빛이 보이고 시야가 흐려지면서 극심한 두통이 오는 데서 생긴 명칭
그리스어의 pheno-(phen-), phaeno-, phenomeno-, -phen는 “보여주기”, “드러내기”, “명확히 하기”의 뜻이다.
phenobarbital: 페노바르비탈(수면제, 마취제)
phenol: 페놀, 석탄산(carbolic acid). phene(벤젠) + -ol(알코올, 오일)
phenomenology: 현상학
phenomenon: 현상 → epiphenomenon: 부수현상
phenothiazine: 페노티아진(항정신병약물)
phenotype: 표현형 → immunophenotype: 면역표현형
phenyl: 페닐. phen- + -yl(재질)
phenylketonuria(PKU): 페닐케톤뇨증
acetaminophen: 아세트아미노펜
hyperphenylalaninemia: 고페닐알라닌혈증
phosphene: 섬광시(눈꺼풀 위로 안구를 누를 때 느끼는 광감光感). phos-(빛) + -phene
콜타르를 증류하여 조명용 가스를 추출하는 과정에서 부산물로 얻은 페네(phene; 밝히는 원소)는 벤젠(benzene)의 다른 이름이다.
그리스어의 phengo-(pheng-)는 “빛”, “일광日光”의 뜻이다.
phengophobia: 백주공포증, 빛공포증
'제2장 티탄의 시대' 카테고리의 다른 글
Luna, Lunatic, Soda (0) | 2023.07.30 |
---|---|
태닝한 클뤼티에, 백색의 여신 레우코토에 (0) | 2023.07.25 |
시간의 여신 호라이 (1) | 2023.07.16 |
사계절의 왕 헬리오스 (0) | 2023.07.13 |
밤을 밝히는 빛의 여신 루나 (0) | 2023.07.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