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오케아노스
- 라틴어
- 케레스
- 의학용어
- 오블완
- greek myth medical terms
- 운명의 여신
- 로마신화
- 그리스로마신화
- 카론
- 메티스여신
- greek myth+medical terms
- 프로메테우스
- 티스토리챌린지
- 과학용어
- greek myth
- medical terms
- medical terms의학용어
- pneuma
- 그리스신회
- lemma
- chaos
- 기간토마키아
- 그리스신화-의학용어
- 그리스신화+의학용어
- greek myth-medical terms
- greek myth그리스신화
- 크로노스
- 우라노스
- 그리스신화
- Today
- Total
목록분류 전체보기 (166)
그리스 신화 속 의학용어

"Caligo ante lucem" - 새벽이 오기 전의 어두움"Nox est perpetua una dormienda." 밤은 방해받지 않는 잠을 뜻한다. 우주의 카오스는 질서로 모습을 바꾸기 시작하였으나 아직 빛이 없었다. 따라서 아직 카오스가 완전히 사라지지 않은 와중에 카오스와 칼리고(Caligo; 어둠, 흐릿함)의 사이에서 어두운 에레보스(Erebus; 어둠의 신)와 칠흑같이 검은 뉙스(Nyx; 밤의 여신)가 태어났고 뉙스와 에레보스는 다시 반짝이는 아이테르(Aether; 높은 하늘의 빛의 신, Ether)와 환한 헤메라(Hemera; 낮의 여신)를 낳았다.밤의 여신 뉙스는 로마의 여신 녹스(Nox) 및 그 남성형인 녹토르누스(Noctornus)에 해당한다. 뉙스/녹스로부터 불어 뉘(nuit; ..

"Necessitas ingenium dedit" - Necessity is the mother of invention. 세상의 만물과 모든 일에는 반드시 근원이 있을 것이라고 추론한 그리스인들은 천지개벽 무렵에 퓌시스를 필두로 태어난 존재들을 프로토게노이(protogenoi; 처음 태어난 것들)이라고 불렀다. 그들은 주로 운명과 시간, 빛과 어둠, 하늘과 땅 등 앞으로 세상을 구성하는데 없어서는 안 될 기본요소로서 불멸의 존재였으므로 프로토게노이는 신이었고−그리스인이 생각한 신의 가장 기본요소는 불사였다−그들 중 일부는 사람의 모습이었다. 코스모스의 태초에 운명과 필연성의 여신 아난케(Anance)가 있었다. 그녀는 시간이 시작될 무렵 필연적으로 태어나 긴 팔을 뻗어 둥근 코스모스를 껴안고 있었다. 아..

Aristoteles dixit - 아리스토텔레스 가라사대 철학과 과학의 모든 분야에 남긴 뛰어난 업적으로 최고의 스승으로 존경을 받아온 아리스토텔레스(Aristoteles, Aristotle)의 이름은 아리스토스(aristos; 아주 딱 맞는 → 최고의) + 텔레스(teles; 완성자, 끝판왕)이다. 아리스토스는 연결형 “ari-(끼워 맞추기)”의 최상급이다.ari- → 그리스어 아르트론(arthron; 관절), 라틴어 아르투스(artus; 관절, 사지), 아르무스(armus; 어깨), 아르마(arma; 도구, 병기), alarm(알람), arthropod(절지동물), arm(팔), armpit(겨드랑이), armor(갑옷, 장갑판), army(군대), armlet(팔찌), armilla(혼천의渾天儀)..

"Ars medica in clinica" - The medical art in the clinic. 연회에 참석한 고대 그리스인 들은 “클리네((kline; 기대는 것, 침대)”라고 불리는 긴 의자에 비스듬히 누운 자세로 먹고 마시며 심포지움을 즐겼는데 17세기에 이르러 클리네에서 유래한 라틴어 클리니쿠스(clinicus; 병상에서 수련하는 이)를 의사라는 의미로 사용하기 시작하였다.고대 로마의 3면에 클리네가 붙은 식탁인 트리클리니움(triclinium)에서 triclinic([수학, 화학] 삼사정계三斜晶系의)이 나왔다. 이와 마찬가지로 “비스듬히 기대는”의 뜻을 가진 lean(기대다, 여윈, 살이 빠진), Leaning Tower of Pisa(피사의 사탑斜塔), recline(비스듬히 기대다, 눕..

Fiat lux - Let there be light. Genesis 1:3 아직 태어날 공간이 없어 어머니 가이아의 음부 속에서 대기하던(오래 기다리지는 않았다) 크로노스가 땅(가이아)의 속 깊이 우라노스의 성기가 들어오는 순간 스퀴테를 휘둘러 뿌리째 잘라 버렸다. 우라노스는 엄청난 비명을 지르며 펄쩍 뛰어 올라갔고, 이것이 하늘이 높아진 이유다. 비로소 하늘과 땅이 분리되어 광활한 공중(air)이 생기고, 거기에 빛이 흘러들어 밝은 세상이 되었다. 현대의 우주론-대폭발 이론(Big bang theory)에 의하면 태초에 대폭발이 일어나 카오스였던 우주에 시공간이 생기며 코스모스가 만들어졌다. 대폭발이 일어난 지 불과 3분 만에 현 우주의 시공간의 기본 틀이 만들어졌는데, 우라노스가 하늘로 뛰어 올라가..

Chronus: Tempus dominus - Lord of time 제2장 티탄의 시대 가이아와 우라노스는 기간테스를 낳았다. 그러나 툭하면 행패를 부리고 변덕이 심할 뿐만 아니라 다듬어지지 않은 모습의 기간테스는 아름다운 코스모스에는 별로 어울리는 존재가 아니었다. 예측이 불가능할 만큼 급작스럽게 변하는 자연의 변덕은 조화를 깨뜨리기 때문이다. 우라노스는 이들을 지하−그래봤자 가이아의 뱃속이지만−에 가두어 보이지 않게 하였다. 그러나 우라노스가 기간테스들을 가둔 진짜 이유는 그들의 힘이 너무 세서 자신의 왕좌를 위협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었다. 인간은 나중에 늙거나 죽어서 자식에게 자리를 물려주면 되지만, 불멸의 존재인 신들은 자신보다 강한 아들이 태어나 잠재적인 경쟁자가 되는 것을 결코 반기지 않았..

Newton principia physica in opere suo descripsit. - Newton described the principles of physics in his work. 퓌시카(physica; 퓌시케의 라틴어)를 연구(logia)하는 학문인 피시올로기아(physiologia; 자연과학)는 지금은 생체 내 기관의 작용과 기능을 연구하는 기초의학의 한 분야인 “physiology(생리학)”를 가리킨다. 이는 주로 주변에서 구할 수 있는 약초를 이용하여 환자를 치료함으로써 인체의 자연스러운 상태를 회복시키는 것을 목표로 하였던 고대의 의사들에게 퓌시카는 “치료술(의학)”이라는 의미를 포함하였기 때문으로 의학의 아버지로 일컬어지는 히포크라테스(Hippokrates)는 “의사라면 환자 스스..

In ipsa natura est medicina - In nature itself is medicine. 카오스에서 “프스-”하는 숨소리와 함께 최초로 출현한 존재는 “퓌시스(Physis; 생산력을 가진 자연)”라는 원시신이었다. 퓌시스는 만물의 근원이 되는 자연신으로 로마의 “나투라(Natura; 만물의 원인, 우주, 자연)”에 해당한다. 퓌시스와 나투라는 각각 physis(자연의 성장원리, 성장물)와 nature(자연)가 되었다. 자연신 퓌시스는 카오스의 혼돈상태를 정리함으로써 질서를 만들고 아름다운 코스모스로 바꾸기 시작하였다. 그리스어 physis를 “퓌시스”로 읽는 이유는 다음과 같다. 입실론(upsilon, 웁실론)은 그리스 알파벳의 20번째 글자(대문자 Υ, 소문자υ)로 영어의 y 또는 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