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Tags
- 그리스로마신화
- lemma
- 과학용어
- 그리스신화+의학용어
- 의학용어
- 렘노스
- 우라노스
- greek myth+medical terms
- 오블완
- 그리스신화
- 그리스신화-의학용어
- 케레스
- greek myth
- 운명의 여신
- medical terms의학용어
- 옴팔로스
- 로마신화
- 라틴어
- medical terms
- pneuma
- 메티스여신
- 기간토마키아
- chaos
- 티스토리챌린지
- 오케아노스
- greek myth medical terms
- greek myth그리스신화
- greek myth-medical terms
- 크로노스
- 그리스신회
Archives
- Today
- Total
목록2025/05/19 (1)
그리스 신화 속 의학용어

Auripigmentum pulchrum est, sed venenum latet. - Orpiment is beautiful, but poison lies hidden. 구리는 무른 금속이지만 운이 좋게도 이집트에서 산출되는 구리에는 천연적으로 비소가 섞여있어서 강도가 대폭 증가되었다. 고대 이집트의 석공들은 이러한 구리 정만을 사용하여 피라미드와 스핑크스에 사용될 돌을 다듬었다. 헤파이스토스가 일하던 시기에 대장간에서 청동을 주조할 때에는 강도를 높이기 위하여 강한 독성을 가진 비소를 첨가해야만 했고 또한 비소 광물인 오피먼트(웅황)를 황금빛 도료로 사용하였기 때문에 청동기시대의 대장장이와 장인들은 만성적 작업장 중독 증세에 시달렸다. 헤파이스토스의 비틀린 자세와 모자로 가린 탈모 및 색소침착으로 얼..
제4장 올륌포스의 신 II-올륌포스의 12신
2025. 5. 19. 10: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