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리스 신화 속 의학용어

맷돌의 여신 - 물랑루즈의 여신 본문

제3장 올륌포스의 신 I-제우스와 형제들

맷돌의 여신 - 물랑루즈의 여신

R2D2 in X-wing 2025. 1. 20. 09:28
반응형

Deus molit molas lentes, sed molit certo. - The gods grind the millstones slowly, but they grind surely.

 

수확하여 말린 밀을 맷돌에 돌린다고 해서 전부 다 밀가루로 오지는 않는다. 땅에서 태어난 것은 땅으로 되돌아가려는 속성이 있다는 것이 그리스인들의 생각이었는데, 이때 최대한의 수득률收得率을 낼 수 있도록 옆에서 지켜보는 여신이 에우노스토스(Eunostus; 잘 가져오는 여신) 또는 프로뮐라이아(Promylaea; 맷돌 앞의 여신)이다. 이 여신이 데메테르인지, 아니면 데메테르를 보좌하는 또 다른 여신이었는지는 확실치 않다.

 

eu-() + nostus(귀가, 회수)  에우노스토스

pro-(앞에) + myle(맷돌, millstone)  프로뮐라이아

 

yield: 수율, 산출량, 생산량, 보수, 항복, 실수확률

yield strength: 항복강도, 항복세기

 

그리스어의 nosto-(nost-)는 “집으로”의 뜻이다.

nostalgia: 향수. nost- + alge-(고통과 슬픔) + -ia(병). 17세기 스위스의 의사 요한네스 호퍼(Johannes Hofer)가 타국에서 고향을 그리워하는 스위스 용병들의 ’향수병‘에 관한 용어로 처음 사용.

 

a-(아닌) + myle  아뮐론(amylon; 맷돌로 갈지 않은 것, 손으로 곱게 빻은 밀)

 

아뮐론/라틴어 아뮐룸(amylum; 녹말, 전분)  amylum(전분), 연결형 amyl-(녹말의, 아밀의), amyl(아밀, C5H11, 전분을 빻지 않고 증류하여 얻은 알킬기), amulet(액막이 부적)

 

그리스어 뮐레(맷돌)는 라틴어 몰라(맷돌), 몰리스(mollis; 부드러운, 연한), mild(-), 여성의 이름 밀드레드(Mildred), 독일어 밀트(mild; 온화한, 친절한)와 뿌리가 같은 말이다.

 

그리스어의 myle는 “맷돌”의 뜻이다.

mild symptom: 경증

mylohyoid: 턱목뿔근, 악설골근, mylohyoid muscle. mylo-(어금니) + hyoid(목뿔뼈)

 

그리스어의 amylo-(amyl-)은 “녹말”의 뜻이다.

amyl: 아밀-, 아밀기基, pentyl

amylase: 아밀라아제, 아밀레이스 → antiamylase: 항아밀레이스, isoamylase: 동위녹말분해효소

amyloidosis: 아밀로이드증

amyluria: 녹말뇨

 

그리스의 에우노스토스/프로밀라이아에 해당하는 로마의 방앗간과 맷돌의 수호여신은 몰라이(Molae; 맷돌녀)였다. 전쟁의 신 마르스의 딸답게 거구의 몰라이는 크고 무거운 몰라(mola; 맷돌)를 자유롭게 다루었다. 몰라이는 라틴어 몰레스(moles; 큰 덩어리, 뭉텅이, 거구, 큰 건물, 제방, )와 같은 이름이다.

 

몰라/몰레스  molar(어금니), molimen(분투, 중압), mallet(망치), demolish(헐다), mellow(부드러운, 익은), muffin(머핀), mace(곤봉), maul(큰 망치, ), molest(괴롭히다, [미성년자를] 성추행하다), Mola mola(맷돌처럼 생긴 물고기  개복치, ocean sunfish)

몰레스 + -cula(작은)  몰레쿨라(molecula; 작은 입자), molecule(분자)

 

나무 그늘이 지붕처럼 우거진 긴 산책길에서 공(palla)을 망치(mallet)로 쳐서 넣는 놀이인 펠멜(pall-mall)을 하던 데서 몰(mall; 쇼핑몰)이 유래하였다. 방앗간에서 밀을 갈아주고 받는 돈이 emolument(보수)이다.

 

몰리눔(molinum; 방앗간)  불어 물랑(moulin; 방앗간, 압착기), 물랑아벵(moulin à vent; 풍차), 영어 moulin(빙하의 세로로 뚫린 구멍), mill(방앗간, 제분소, 가루로 가는 기구), gristmill(제분소), sawmill(제재소), watermill(물레방아), windmill(풍차)

캉캉춤으로 유명한 파리의 카바레 물랭루즈(Moulin Rouge; 빨강풍차)는 옥상에 설치된 빨간 네온사인 풍차에서 그 이름이 붙었다.   Henri de Toulouse-Lautrec , 1891 Wikipedia

라틴어의 몰라(mola)는 “맷돌”의 뜻이다.

molar: 큰어금니, 대구치, molar tooth → premolar: 작은어금니, 소구치, bicuspid tooth, retromolar: 어금니뒤-, 구후- cf) back tooth(어금니)

mole: 기태奇胎(비정상적 융모막 덩어리), 몰(mol; 화학 단위), 모반母斑(피부반점, 사마귀, 주근깨) cf) molar(질량상의, 몰의)

hydatidiform mole: 포상기태, 포도송이기태 cf) hydatidiform(물방울모양)

molecular: 분자-

molecular weight: 분자량

molecule: 분자 → biomolecule: 생체분자, macromolecule: 고분자, 대분자

molestation: 학대, 괴롭힘

molimen: 곤란, 장애(주로 월경장애), 몰리멘

millimole: 밀리몰

osmolarity: 삼투질농도, 오스몰농도

osmole: 오스몰

treadmill: 답차, 트레드밀

treadmill test: 트레드밀검사

 

라틴어의 malleo-(malle-)는 “망치”의 뜻이다.

malleability: (금속의) 전성展性, 가단성可鍛性

malleation: 경련손운동 cf) malleate(망치로 두들기다)

malleolar: 복사-, 과- → intermalleolar(복사사이-, 과간-), supramalleolar(복사위-)

malleolus: 복사뼈, 과踝. pl. malleoli

malleus: (중이中耳의) 망치뼈, 추골槌骨, hammer (bone). pl. mallei

mallet finger: 망치손가락

incudomalleal: 모루망치-, 침골추골-

 

라틴어 무풀라(muffula; [부드러운] 토시)는 몰리스(부드러운)와 같은 어원에서 왔다.

무풀라  muff(머프[방한용 토시], [여자의] 거웃이 난 자리), muffle([소리를] 죽이다, [따뜻하게] 감싸다), muffler(머플러, 목도리, 소음기)

카포(capo; 머리) + 무풀라  불어/영어 카무플라주(camouflage; 위장, 보호색)

 

몰라눔(방앗간)에서 몰라(맷돌)로 빻아 체로 치지 않은 곡식이 meal(굵은 가루, 거칠게 빻은 곡식)이다. 이로부터 oatmeal(귀리가루, 오트밀) cornmeal(옥수수가루), mealy(거친 가루의, 가루를 뿌린), mealy-mouthed(생각을 솔직히 말하지 않는)가 나왔다. 반면에 체로 쳐 꽃(flower)같이 고운 가루가 flour이다.

 

맷돌로 간 밀을 체로 쳐서 남는 겨의 그리스어 피투론(pituron)과 라틴어 푸르푸르(furfur) 가루 찌꺼기에 관한 의학용어를 만든다.

furan: 푸란, furane, 탄소 원자 네 개와 산소 원자 하나를 가진 방향성 복소고리 유기화합물. furfural(푸르푸랄) + -ane(포화탄화수소)

furanocoumarin: 푸라노쿠마린, furocoumarin, furan + -o- + coumarin(쿠마린)

furanose: 푸라노오스. furan(푸란) + -ose(당)

furfural: 푸르푸랄(밀기울과 같은 곡물 부산물에서 얻는 유기화합물)

furosemide: 푸로세미드(C12H11ClN2O5S)

furfuraceous: 겨같은-, 비듬모양- cf) furfur(비듬)

pityriasis: 잔비늘증

pityroid: 겨같은-, 비듬모양-, 잔비늘모양-

 

그리스어 폴토스(poltos; )  라틴어 폴렌(pollen; 밀가루, 꽃가루), 풀비스(pulvis; 먼지, 가루), pollen(꽃가루), pollinate(수분受粉하다), pulvis(가루약), pulverize(을 가루로 만들다, 빻다), powder(가루, 분말), pallet(짚자리)

 

폴토스의 라틴어 풀스(puls; 뜨거운 죽) → pulse(콩류), poultice([밀가루죽을 헝겊에 바른] 찜질약, 습포제劑). 습포제를 때로 파프제(pap)라고 하는 것은 pap(아기 이유식용 빵 죽, 걸쭉한 것)에서 온 것이다.

poultice: 찜질, 습포

pollen grain: 꽃가루

powder: 가루, 분말

powdering machine: 분쇄기

pulvis: 가루약

 

폴토스/폴렌과 동일한 어원에서 pulp(으깨서 만든 걸쭉한 것, 펄프)가 나왔다.

 

라틴어의 pulpo-(pulp-), pulpi-는 “살코기”, “(연한) 과육果肉”, “치아 내부 조직”의 뜻이다.

pulp: 속질, 치수

pulpitis: 속질염, 수질염, 치수염

pulpotomy: 치수절단(술)

circumpulpar: 속질주위-, 치수주위-

 

농기구의 명칭을 해부학 용어로 가져온 또 다른 예가 보습(쟁기의 날)이다. 척추동물의 코 정중앙에 콧등을 이루는 얇은 마름모꼴의 뼈에는 쟁기의 날을 닮은 모습에서 라틴어 보메르(vomer; 보습)”라는 이름이 붙었다. 보메르는 wedge(쐐기), wedgie(쐐기모양 뒤꿈치의 여성화)와 연관이 있는 단어이다.

vomer: 보습뼈, 서골鋤骨

vomeronasal: 보습코-

wedge: 쐐기

wedge resection: 쐐기절제(술)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