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그리스신화+의학용어
- 그리스로마신화
- 티스토리챌린지
- 과학용어
- lemma
- 크로노스
- medical terms의학용어
- greek myth그리스신화
- 그리스신회
- greek myth
- 의학용어
- 케레스
- 기간토마키아
- 로마신화
- 프로메테우스
- 우라노스
- 카론
- 오케아노스
- 그리스신화-의학용어
- 오블완
- medical terms
- greek myth medical terms
- greek myth+medical terms
- 운명의 여신
- chaos
- greek myth-medical terms
- 그리스어
- 그리스신화
- 라틴어
- pneuma
- Today
- Total
그리스 신화 속 의학용어
헤스티아의 선글라스-그 선글라스가 아니다 본문
Flamma Vestae puritatem et pacem significat. - The flame of Vesta signifies purity and peace.
고대로부터 알려진 이른바 “불붙는 유리(burning glass; 화경火鏡, 볼록렌즈)” 또는 “태양유리(sunglass, 볼록렌즈의 옛말, 선글라스[sunglasses]가 아님)”라는 것은 창가에 놓아둔 물이 담긴 유리병에 쪼인 햇살로 우연히 불이 붙는 현상에서 생긴 말이다. 허리가 불룩한 유리병이 볼록렌즈와 같이 햇살을 한 점에 모아주는 구실을 하기 때문인데 이때 초점에는 불이 붙어도 막상 햇빛이 통과하는 유리병의 물 자체는 전혀 뜨거워지지 않아서 신비하게 여겨졌다. 그리고 이에 착안한 사람들은 넓적한 유리의 가운데 부분을 볼록하게 만들어내었는데 당시의 중요한 곡물 중 하나로 동글납작하고 가운데가 볼록한 렌즈콩(lentil) 모양이었던 덕분에 이를 “불붙는 렌즈콩(burning lens)”이라고 부르게 되었다. 오늘날 우리는 이러한 유리를 렌즈라고 부른다.
렌즈콩의 그리스어 라튀로스(lathyrus)와 라틴어 렌스(lens), 독일어 린저(Linse)는 서로 같은 어원을 가진다.
그리스어 라튀로스 → Lathyrus(연리초속屬), 갯완두와 스위트피(sweet pea) 등이 속한다.
라틴어 렌스 → lens(렌즈)
렌즈콩이 하도 작았던 탓에 이를 로마인들이 “렌티쿨라(lenticula; 조그만 렌즈콩)”라고 한데서 lentil(렌즈콩)이 나왔다.
렌티쿨라 → lenticular(렌즈의, 수정체의, 렌즈의), nonlenticular(비수정체의), lenticel([식물] 피목皮目, 껍질눈), lentoid(양면 볼록렌즈꼴의)
라틴어의 lenti-, lent-, lens-는 “렌즈(콩)”의 뜻이다.
lathyrism: 라티리즘, 갯완두중독
lens: 수정체(crystalline lens), 렌즈
bifocal lens: 이중초점렌즈
concave lens: 오목렌즈 → planoconcave lens: 평면오목렌즈
convex lens: 볼록렌즈 → planoconvex lens: 평면볼록렌즈
intraocular lens: 인공수정체
objective lens: 대물렌즈
lenticonus: 원뿔수정체, 원추수정체
lentiform: 렌즈모양-, 수정체형-
lentiginosis: 흑색점증
lentigo: 흑색점(렌즈콩 표면의 얼룩에서 유래). pl. lentigines
circumlental: 수정체주위-, perilenticular
cortex lentis: 수정체겉질, 수정체피질水晶體皮質
라틴어의 lenticulo-(lenticul-)는 “작은 렌즈”의 뜻이다.
lenticel: (식물) 피목皮目, 껍질눈, 렌즈모양샘, 렌즈형선形腺
lenticular: 렌즈핵-, 수정체- → hepatolenticular: 간렌즈핵-, perilenticular: 수정체주위-, sublenticular: 렌즈핵밑-, thalamolenticular: 시상렌즈핵-
lenticule: 미소微小볼록렌즈, 영사 스크린 위의 물결무늬
small incision lenticule extraction(SMILE): 각막최소절개술
기원전 5세기의 그리스의 희극작가 아리스토파네스는 그의 희곡에 신기한 불붙는 렌즈콩을 등장시켰다. 희극의 아버지 또는 희극의 왕자로 일컬어지는 그의 이름은 aristo-(최고의) + phanes(등장시키는 자, 밝히는 자)에서 온 것으로(phanero-항목 참조) 통렬한 시사 풍자와 야유를 담은 작품을 남겼다.
참고) 코미디의 다른 말로 쓰이는 개그(gag)는 본디 “재갈을 물리다, 입막음, 보도금지령”인데 후에 “(대본에 끼워 넣은) 익살, 농담”의 뜻이 추가되었다. 의학에서는 “입에 물려 벌리고 있게 하는 장치”를 말한다.
gag: 구역, 입벌리개
불붙는 렌즈는 신성한 햇빛을 모아 순수한 불(헤스티아의 화로)을 일으키는 것으로 간주되었으므로 모든 신전의 성화를 붙이는 필수 도구였고, 지금도 올림픽 성화의 채화는 반드시 렌즈를 이용한다. 물론 프로메테우스가 하늘의 신성한 불을 훔쳐서 세상의 인간들에게 주었듯이 불붙는 렌즈는 신전에서뿐 아니라 세속적인 인간을 위해서도 사용되기 시작하여, 상처를 태워서 치료하는 소작술(cauterization)에도 응용되었고, 마땅한 점화수단이 없던 시절에는 아주 유용한 도구로 취급되었다. 그러나 유리의 가공이 쉽지 않았던 탓에 직경이 큰 렌즈(렌즈의 면적이 넓을수록 많은 빛을 모은다)를 만들기는 어려웠으므로 빛의 성질에 주목한 고대의 과학자들은 볼록렌즈와 같은 효과를 내는 “불붙는 거울”도 생각해 내었다. 작은 거울을 여럿 이어 붙여서 오목거울(concave mirror)을 만든 것이다. 고대 로마의 역사저술가인 플루타르코스는 베스타 신전에는 삼각형의 금속거울을 여러 장 이어붙인 불붙는 거울이 설치되어 있다는 기록을 남겼다.
com-(집중, 같이) + 카부스(cavus; 속이 빈) → 라틴어 콘카부스(concavus; 오목하게 휜), concave(오목한, 요면凹面, 요면체)
라틴어 카부스 → cabin(오두막집, 선실), cabinet(캐비닛, 내각), cabana(해변의 탈의실), caboose(기차의 승무원실), 불어 카비네(cabinet; 작은 방, 전시실, 서재), 이탈리아어 카바티나(cavatina; 짧은 영창곡, 짧은 서정적 기악곡), 카부스는 hedge(산울타리, 장벽, 손실이나 위험에 대한 방지책), decoy(사냥감 유인용 새, 바람잡이, 미끼)와 뿌리가 같은 단어이다.
hedge(가시) + hog(돼지 (같은 주둥이)) → hedgehog(고슴도치)
hog cholera: 돼지콜레라
초파리의 유전자를 연구하던 학자들은 가시가 있는 것처럼 보이는 것을 “헤지호그(hedgehog, hh)”로 부르기 시작했다. 포유류에 존재하는 3가지 헤지호그 중 하나인 “소닉헤지호그(sonic hedgehog, SHH)”는 만화책과 비디오게임으로 유명한 “Sonic the Hedgehog”에서 유래한 공식명칭이다. 당연히 나머지 두 유전자는 고슴도치 종류인 사막고슴도치와 인도고슴도치로부터 각각 “desert hedgehog(DHH)”와 “indian hedgehog(IHH)”가 되었다.
라틴어의 cavo-(cav-), cava-, cavi-, cavern-은 “오목한”, “빈 곳”, “갈라진 틈”의 뜻이다.
cabinet: 실험대, 함, 캐비닛
cage: 우리, 실
cava: 대정맥(vena cava), 동굴, pl. (venae) cavae
caval: 대정맥- → portocaval: 문맥대정맥-
cave: 동굴, 공간
caveola: 작은함몰, 소포
cavern: 동굴, 공간, caverna
cavernosum: 해면체海綿体. cavern + -osum(-osus; …으로 꽉 찬)
corpus cavernosum penis: 음경해면체
corpus cavernosum of clitoris: 음핵해면체
cavernous: 해면-
cavernous hemangioma: 해면혈관종
cavitation: 공간형성, 공동화 cf) cavitation(캐비테이션, 프로펠러/스크류 뒤에 생기는 진공)
cavity: 공동, 공간, 안, 강, cavum, cavitas
abdominal cavity: 복강, cavum abdominalis
nasal cavity: 비강, 코안, cavitas nasi
oral cavity: 구강, 입안, cavum oris
concave: 오목- → biconcave: 양면오목-, 양오목-
concave lens: 오목렌즈 → planoconcave lens: 평면오목렌즈
aorto-caval fistula: 대동정맥샛길, 대동정맥루
excavation: 오목, 꺼짐, 함몰 cf) excavate(발굴하다, 구멍을 파다), excavation(굴, 유적)
excavator: 천공기, 구멍뚫개
intracavitary therapy: 강내요법
pectus excavatum: 오목가슴, funnel chest
가정의 신 베스타와 더불어 로마인들의 가정 내에 상주하며 일상적 가사를 돌보던 신이 페나테스(Penates; 깊이 들어온 자들)이다. 로마의 가정마다 서로 다른 이유에 따라 다양한 페나테스의 사당이 있었던 탓에 페나테스들의 전체 숫자와 그 정체는 당시 사람들에게조차 헷갈리는 문제였다.
페나테스 → penetrate(꿰뚫다)
라틴어의 penetra-, penetr-는 “침투”, “관통”의 뜻이다.
penetrance: 투과도, 방사투과도, 투과
penetrating injury: 관통상
penetrating wound: 관통창
penetration: 관통, 투과, penetratio
impenetrable: 불투과성-
Tunga penetrans: 모래벼룩 cf) Tunga(모래벼룩속, 남인도의 퉁가강(Tunga)에서)
'제3장 올륌포스의 신 I-제우스와 형제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유괴된 아가씨 코레 (3) | 2024.12.14 |
---|---|
카피하는 젊은 엄마 데메테르 (1) | 2024.12.11 |
콜리스 팔라티누스 (2) | 2024.12.07 |
베스타와 카쿠스(똥 같은 놈)와 카카(불의 여신)의 관계 (3) | 2024.12.06 |
헤스티아 - 사크룸의 주인 (3) | 2024.12.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