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greek myth medical terms
- greek myth그리스신화
- greek myth+medical terms
- 티스토리챌린지
- greek myth-medical terms
- 우라노스
- 그리스신화+의학용어
- medical terms
- 그리스로마신화
- 오블완
- 카론
- greek myth
- 그리스신화
- 기간토마키아
- medical terms의학용어
- chaos
- 케레스
- 그리스신화-의학용어
- 프로메테우스
- 과학용어
- 그리스신회
- 라틴어
- 오케아노스
- 크로노스
- 운명의 여신
- 그리스어
- 로마신화
- lemma
- 의학용어
- pneuma
- Today
- Total
그리스 신화 속 의학용어
카피하는 젊은 엄마 데메테르 본문
Cornucopia, dona naturae infinita. - The horn of plenty, infinite gifts of nature.
제우스의 구토약을 마신 크로노스가 제우스의 누이인 데메테르를 게워내자, 아직 어린 아기 그대로인 데메테르를 재빨리 제우스가 데려다 길렀다. 얼마 지나지 않아−신들의 무한대의 수명에 비하면 10여 년은 찰나이다−데메테르가 사춘기를 맞이하자 제우스는 아무도 모르게 그녀와 함께 수많은 밤을 보냈고, 예쁜 딸을 낳았다.
그리스신화에서 수확과 비옥함의 여신 데메테르(Demeter)는 게(Ge; 대지, 가이아)의 도리아 방언인 데(De) + 메테르(meter; 어머니)이다. 따라서 그녀는 나이가 들어 생산능력이 사라져가는 가이아를 대신할 젊은 “대지의 어머니” 여신이다.
데메테르 → 여자 이름 디미트라(Dimitra)
데메트리오스(Demetrios; 데메테르의 아들) → 이름 디미트리오스(Dimitrios), 디미트리스(Dimitris), 드미트리(Dmitri, 슬라브식 이름)
메테르 → 메트로폴리스(metropolis; 어머니 도시)
경작지가 부족한 그리스 본토를 떠나 지중해 인접 지역으로 진출한 고대 그리스인들에게 메트로폴리스는 떠나온 모국을 가리켰다.
그리스어의 metro-(metr-)는 “가족 구성원으로서의 어머니”의 뜻이다.
metropolis: 종속중심지
그리스어의 metro-(metr-), metra-는 “자궁”의 뜻이다.
metra: 자궁, uterus, womb → hematometra: 자궁혈종, hydrometra: 물자궁증, 자궁유수증, hydrometrocolpos: 물자궁질증, 수자궁질증
metralgia: 자궁통증
metrectomy: 자궁절제술, hysterectomy
metritis: 자궁근염, 자궁근층염
metropathy: 자궁병증
metrorrhagia: 자궁출혈
metroscope: 자궁경, 자궁보개, hysteroscope
ametria: 자궁없음증, 무자궁증
endometrioma: 자궁내막종. endo-(안) + metri- + -oma(종양)
endometriosis: 자궁내막증
endometritis: 자궁내막염 → exometritis: 자궁외막염, perimetritis
endometrium: 자궁내막, 자궁속막
mesometrium: 자궁간막, 자궁근층
myometritis: 자궁근염
myometrium: 자궁근육층, 자궁근층
parametritis: 자궁주위조직염
parametrium: 자궁주위조직
perimetrium: 자궁외막
어린 딸과 함께 행복의 절정에 있는 새댁인 데메테르가 돌보는 대지는 항상 봄이라 푸르렀고, 곡물과 과일은 저절로 풍족하게 여물어 지상의 인류와 동물들은 배고픔을 몰랐다. 인간에게 곡물을 주었고 나중에 겨울이 생겼을 때에는 불모의 기간 동안 기아를 이겨낼 수 있도록 농사를 지어 저장하는 법까지 가르쳐준 데메테르 덕분에 인간은 동물보다 우월한 존재가 될 수 있었다. 인류에게는 가장 고마운 신으로서 그녀는 씨토(Sito; 먹을거리의 여신), 메갈라 테아(Megala Thea; 위대한 여신), 메갈라 마테르(Megala Mater; 위대한 어머니) 등으로 불리었다.
그리스어의 sitio-(siti)-, sito-(sit-), -sitia는 “음식”, “먹기”, “입맛”의 뜻이다.
sitosterol: 시토스테롤(식물스테롤). sito- + sterol(스테롤)
sitosterone: 시토스테론. sitosterol + ketone(케톤)
sitotoxin: (부패에 의한) 곡물독소
parasite: 기생충, 기생생물, para-(곁에) + sitos → ectoparasite: 외부기생충, endoparasite: 내부기생충, entoparasite, epiparasite: 착생기생충, holoparasite: 완전기생체, 전생애기생체, hyperparasite: 중복기생체, pseudoparasite: 기생충유사체, xenoparasite: 기회기생충, zooparasite: 동물기생체, 동물성기생충
parasitism: 기생생활, 기생(증) → hyperparasitism: 중복기생, superparasitism
parasitology: 기생충학
parasitosis: 기생충증, 기생충감염
parasiticide: 구충제
parasitization: 기생충감염
antiparasitic: 항기생충-, 항기생충제
autosite: 자생체自生體
보통 곡물 이삭으로 엮은 관을 머리에 쓰고 있는 데메테르의 상징은 손에 든 낱알이 잔뜩 달린 밀 이삭 다발과 코르누코피아(cornucopia; 풍요의 뿔)이다. 코르누코피아는 젖먹이 제우스에게 젖을 주었던 염소 아말테아의 구부러진 뿔을 말하는 것으로 속이 비어있는 뿔에서 과일과 꿀이 무한정 복사(copy)되어 나온다는 풍요의 상징이다.
cornu(뿔) → Cervus(사슴속)
cornu + copia(풍요, 복사기) → 코르누코피아
라틴어의 corn-은 “뿔(같은)”의 뜻이다.
corn: 티눈
corn plaster: 티눈고약
cornea: 각막, 맑은막
corneal: 각막-
corneum: 피부각질층
cornification: 각화, 각질화, 각질
cornu: 뿔, 각
bicornate uterus: 자궁두뿔증
stratum corneum: 각질층
unicorn: 외뿔
horn: 뿔, 돌기, 각
uterine horn: 자궁뿔
horny: 각질-
horny layer: 각질층
horny substance: 각질
코르누 → corner(모퉁이), 라틴어/영어 안콘(ancon; 팔꿈치, 벽면에 구부러진 모서리돌). 코르누와 같은 뿌리에서 horn(뿔), horny(뿔의, 뿔로 만든, 각질角質의), hornet(말벌, 몸체 표면이 단단한 각질로 됨), horny(성적 매력이 있는, 호색의, 본디 남성에 한하던 용어에서 남녀 구분 없이 사용하게 됨), cornetto(코르네토, “작은 뿔”의 뜻을 가진 이탈리아 크루아상)
ex-(제거된) + cornu → scorn(경멸, 냉소)
longus(긴) + cornu → longicorn([곤충] 촉각이 긴), longicorn beetle(하늘소)
그리스어의 ancon-은 “팔꿈치”의 뜻이다.
anconagra: 팔꿈치통풍
anconeus muscle: 팔꿈치근, 주근
anconitis: 팔꿉관절염
Meconium, somni et oblivionis flos. - The poppy, flower of sleep and forgetfulness.
데메테르는 아테네의 소년 메콘(Mecon)을 예뻐했는데 어느 날 소년이 죽자 크게 슬퍼하던 여신은 소년을 꽃으로 만들어 늘 곁에 두었다. 이 꽃이 메콘(mecon; 양귀비)이다. 밀밭이나 보리밭에 피는 양귀비의 빨간 꽃은 풍요의 여신에 대한 경배로 간주되었다.
그리스어 메코니온(meconion; 양귀비즙, 아편) → 라틴어 메코니움(meconium; 아편, 배내똥). 신생아가 출생 후 첫 24시간 사이에 배설하는 끈적이는 암녹색의 배내똥과 양귀비즙의 유사성에서, 그리고 배내똥이 태아의 잠을 유도한다는 아리스토텔레스의 견해에서 두 가지 서로 다른 의미가 연결된 것으로 보인다. 우리나라에서도 가지에 상처를 내면 노란색 즙이 나오는 양귀비과의 이년생초를 애기똥풀이라고 한다.
그리스어의 mecono-(mecon-)은 “양귀비”, “배내똥”의 뜻이다.
meconalgia: 아편금단통증
meconism: 아편중독
meconium: 배내똥, 태변
meconium ileus: 태변창자막힘증, 태변장폐색증
'제3장 올륌포스의 신 I-제우스와 형제들' 카테고리의 다른 글
르네상스의 여신 프로세르피나 (1) | 2024.12.15 |
---|---|
유괴된 아가씨 코레 (3) | 2024.12.14 |
헤스티아의 선글라스-그 선글라스가 아니다 (0) | 2024.12.08 |
콜리스 팔라티누스 (2) | 2024.12.07 |
베스타와 카쿠스(똥 같은 놈)와 카카(불의 여신)의 관계 (3) | 2024.12.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