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greek myth
- lemma
- chaos
- greek myth medical terms
- medical terms
- 그리스신회
- 그리스로마신화
- greek myth-medical terms
- 크로노스
- 의학용어
- 그리스신화
- 메티스여신
- 로마신화
- 오블완
- 그리스신화+의학용어
- medical terms의학용어
- 티스토리챌린지
- 케레스
- 카론
- 우라노스
- 그리스신화-의학용어
- greek myth+medical terms
- 오케아노스
- 운명의 여신
- pneuma
- greek myth그리스신화
- 기간토마키아
- 라틴어
- 과학용어
- 렘노스
- Today
- Total
그리스 신화 속 의학용어
티탄전쟁의 결말 - 팬플루트와 당나귀와 산사태 본문
"Manus manum lavat" - One hand washes the other.
티탄 전쟁에서 퀴클로페스가 공병이었다면, 포병의 역할을 수행한 기간테스도 있었다. 100개의 손과 50개의 머리를 가진 기간테스인 헤카톤키레스(Hecatonchires; 100개의 손을 가진 자들) 삼 형제는 산더미 같은 바위를 한꺼번에 150개씩 쏘아 올려 티탄 진영을 곤경에 빠뜨렸다. 로마 신화의 켄티마니(Centimani; 일백의 손)는 헤카톤키레스를 라틴어로 옮긴 것이다. 브리아레오스(Briareus; 힘센 자)를 필두로한 100개 손 거인들의 엄청난 힘과 난폭함 앞에서는 티탄족으로서도 속수무책이었고, 이들의 활약은 전쟁의 향방을 가를 정도였다.
메티스의 거리재기에 따른 헤카톤키레스의 포격을 무릅쓴 티탄 측의 돌진에 올륌포스 연합군의 세력이 뒤로 밀리기 시작하자 아틀라스를 선봉으로 한 티탄 세력이 추격해왔다.
작전상 후퇴라는 개념 자체가 없던 시절에 메티스의 번득이는 작전이었다. 티탄 군이 산기슭까지 추격해 왔을 때 염소신 판이 부는 팬플루트 신호에 따라 산 너머에 매복해있던 헤카톤키레스의 바윗돌 일제사격이 다시 시작되었다. 갑자기 산에서 쏟아지는 돌무더기에 놀란 티탄 하나가 “산이 무너진다!”고 외치며 달아났고 이는 티탄 군의 무질서한 패주를 불러일으킴으로써 사실상 전쟁의 승패가 결정되었다.
물론 판은 자신의 팬플루트 소리에 패닉에 빠진 티탄족이 달아났다고 주장하였고, 디오뉘소스는 자신의 당나귀들의 울음소리가 산사태를 일으켰다는 자랑을 하고 다녔다.
그리스어 헤카톤(hecaton; 100)과 라틴어 켄툼(centum; 100)은 hundred와 뿌리가 같은 단어이다.
라틴어 페르 켄툼(per centum; 100단위로) → percent(퍼센트, per cent), percentage(백분율). 퍼센트의 다른 말 “프로”는 네덜란드어 프로센트(procent; 퍼센트)를 줄여 사용한 일본어 “프로(プロ)”에서 온 것이나 현대의 일본에서는 잘 사용되지 않는다.
퍼센트 기호(percent sign) “%”는 사선 기호(/)로 분수를 표시한 것이다. 퍼밀(permille; 천분율)은 “‰”, 만분율(permyriad)은 “‱”로 나타낸다.
그리스어의 hecto-(hect-), hecato-, hecaton-, hekto-(hekt-)는 “100”, “많은”의 뜻이다.
hectogram(hg): 헥토그램(100그램)
라틴어의 centi-(cent-)는 “100”의 뜻이다.
centimeter(cm): 센티미터
percentage: 백분율
percentile: 백분위수, 퍼센타일
percentile range: 편차
라틴어 마누스(manus; 손) → 마누 프로프리아(manu propria; 손수, 자필로, m.p., mppr., mppria), manubrium(자루 모양의 뼈), manicure(매니큐어), manual(매뉴얼), mastiff(마스티프; 털이 짧고 덩치가 큰 개, “길든”의 뜻에서), 스페인어/영어 마노 아 마노(mano a mano; 1대1 대결), 불어 망(main; 손, 손길)
스페인어 마니토(manito; 작은 손 → 친구)는 “정체를 숨기고 편지나 선물을 주는 비밀 친구”라는 뜻으로 사용되고 있다(심지어 이탈리아어로 잘못 알려짐).
manus + 스크립투스(scriptus; 쓴) → manuscript(원고)
라틴어의 manu-(man-), mani-는 “손”의 뜻이다.
maintainer space: 공간유지장치
management: 관리
maneuver: 수기(손으로 하는 일), 조작, manoeuvre(영국)
Heimlich maneuver: 하임리히법, abdominal thrusts. cf) 하임리히(H. Heimlich, 1920-2016, 미국 흉부외과의)
Valsalva maneuver: 발살바조작. 발살바매뉴버 cf) 발살바(A. M. Valsalva, 1666-1723, 이탈리아의 귀 전문 해부학자)
manifest content: 발현내용 cf) manifest(명백한, 명시하다)
manifestation: 소견, 표현, 표시, 명시. manus-(손) + -fest(잡다)
clinical manifestation: 임상증상, 임상소견
skin manifestation: 피부소견
manipulation: 다루기, 조작, 수기, 처치, 도수조작, 도수교정
manipulator: 조작기
mannerism: 매너리즘, 타성 cf) manner(방법, 양식), manners(풍습, 예의범절)
manual: 수기-, 수동-, 손-, 편람
DSM-5: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Fifth Edition(정신장애진단통계매뉴얼-5)
manual removal: 수기제거술
manubrium: 복장뼈자루, 자루
manus: 손, hand
dorsum manus: 손등
manus cava: 오목손
bimanual compression: 두손압박법
dextromanual: 오른손잡이- → sinistromanual: 왼손잡이-. dextro-(오른쪽, 재간 있는, 행운)/sinistro-(왼쪽, 불운) + manus
micromanipulation: 미세조작(술)
마누스(손에) + dare(쥐기) → madate(공식적인 권한, 명령, 지시, 위임), mandamus(직무 집행영장)
com-(같이) + mandate → command(명령(하다)), commend(칭찬하다, 추천하다)
counter- + mandate → countermand(철회하다)
de-(철저히) + mandate → demand(요구, 수요)
re-(다시) + mandate → remand(송환하다, 구류하다)
라틴어의 mandato-(mandat-), manda-는 “명령하다”, “지휘하다”의 뜻이다.
mandatory: 명령적-, 필수-
continuous mandatory ventilation(CMV): 지속필수환기
intermittent mandatory ventilation(IMV): 간헐필수환기
command: 명령 cf) commando(특공대, 코만도)
demand: 수요, 요구량
recommended dietary: 영양권장량
전후에 퇴역한 켄티마니를 유피테르가 정원사로 채용하였다. 이들은 100개(켄티)의 두툼한 손들(mani; 마니)을 교묘하게 놀려 정원을 돌보고 거름을 주었으므로
마누스(manus; 손으로 하는) + operation(작업) → maneuver(기술을 요하는 조작, 교묘한 수), manure(유기질 비료, 똥거름)
언젠가 제우스의 지나친 억압에 폭발한 헤라가 잠자리에서 제우스의 벼락을 감추고 포세이돈과 아폴론을 불러 잠든 제우스를 꽁꽁 묶었을 때 정원에서 일하던 헤카톤키레스가 삽시간에 제우스를 풀어준 적이 있다. 100개의 손이 도움이 된 것이다.
아르카디아의 기가스(거인족)인 아제우스(Azeus; 바싹 말리는 자)도 티탄 전쟁에 참전하였으나 어느 편에서 싸웠는지는 명확히 알려져 있지 않다. 아르카디아 지역의 최고신이었던 그의 이름은 a-(아닌) + zeus(비의 신 제우스)라는 뜻이다.
그리스어 아잘로스(azalos; 건조한)/아제인(azein; 말리기)은 ash(재)와 뿌리가 같은 단어이고, 마른 모래땅에서 잘 자라는 나무에는 azalea(진달래), royal azalea(철쭉)라는 이름이 붙었다.
azalea(진달래) + -in → 아잘레인(azalein), 진달래속(Rhododendron)의 꽃에서 발견되는 플라보놀(flavonol)
참고) 그리스어의 동사를 명사화하는 접미사 아제인(-azein)은 아스테르(-aster)로 변형되어 이른바 “짝퉁”을 나타내는 용어를 만든다. 이를테면 philosophaster(사이비 철학자), poetaster(남성 삼류시인), poetastress(여성 삼류시인).
그리스어, 라틴어의 -aster, -astering, -asterism, -astery, -astress, -astry는 “어설픈 흉내”의 뜻이다.
medicaster: 가짜의사, 여성형은 medicastra
'제3장 올륌포스의 신 I-제우스와 형제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우스 - 렉토르와 렉툼, 그리고 항문 (1) | 2024.02.24 |
---|---|
티탄전쟁의 결말 - 천국과 지옥 (2) | 2024.02.22 |
티탄전쟁-복족류 퀴클로페스 (1) | 2024.02.18 |
티탄전쟁-전격의 제우스 (1) | 2024.02.13 |
티탄전쟁의 서막-퀴클로페스가 만든 최종병기 (1) | 2024.02.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