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우라노스
- lemma
- greek myth medical terms
- 케레스
- 그리스신회
- 그리스신화+의학용어
- 의학용어
- 운명의 여신
- 기간토마키아
- 카론
- 오블완
- medical terms의학용어
- 그리스신화-의학용어
- greek myth+medical terms
- 티스토리챌린지
- 라틴어
- 로마신화
- greek myth그리스신화
- chaos
- greek myth-medical terms
- medical terms
- 메티스여신
- pneuma
- 크로노스
- 프로메테우스
- 오케아노스
- 그리스로마신화
- 과학용어
- greek myth
- 그리스신화
- Today
- Total
목록전체 글 (164)
그리스 신화 속 의학용어

Palatinus locus originis urbis. - The Palatine is the place of the city's origin. 레카라누스 또는 헤라클레스가 카쿠스를 처치한 야산이 나중에 최초의 로마 황제 아우구스투스가 궁전을 세우게 되는 팔라티누스 언덕(Collis/Mons Palatinus, Palatine Hill)이다. 고대 로마가 형성되던 초기에 마을의 둘레에 팔루스(palus; 목책기둥)를 세우고 목책에 임한 여신 팔라투아(Palatua; 팔루스의 수호여신)에게 외적으로부터의 안전을 기원하던 데서 나온 말이 팔라티누스(Palatinus; 팔라투아의)다. 팔루스 → pole(막대, 기둥), pale(끝이 뾰족한 말뚝, 울타리), palisade(말뚝 울타리, 깎아지른 절벽),..

Furta Caci Herculem provocaverunt.- The thefts of Cacus provoked Hercules. 로마신화의 불의 신 불카누스의 아들 카쿠스(Cacus; 사악한 자)는 코에서 불길을 내뿜는 거인이었다. 그는 라티움(로마 이전의 고대 국가) 인근을 휩쓸고 다니며 사람들을 해치다가 어느 날 레카라누스의 소떼를 훔쳤다. 레카라누스를 사랑하던 카쿠스의 누이 카카(Caca, Cacia)는 이를 연인에게 알리고 소떼를 숨겨놓은 동굴을 가르쳐주었는데, 레카라누스는 엄청난 괴력을 가진 거인이었다. 이때는 마침 헤라클레스가 스페인에서 빼앗은 게리온의 소떼를 몰고 그리스로 돌아가던 중이었기 때문에 사람들은 나중에 레카라누스는 혹시 헤라클레스가 아니었을까 하고 생각하였다. 악당이 임자를 ..

Os sacrum - Sacred bone 고대에는 희생 동물을 잡아 신에게 제사를 올리려면 단단하고(따라서 먹을 수 없었던) 그릇 모양으로 오목한 엉치뼈를 접시 삼아 똥이 끼어 먹을 수 없는 내장과 내장 사이에 뭉글뭉글 끼어있는 지방을 모아 담아(이는 프로메테우스가 가르쳐준 것이다) 제단의 성화(flame)에서 태웠다. 이로써 인간이 바치는 제물의 불향이 듬뿍 담긴 고소함을 직접 맛보는 신은 당연히 헤스티아(화로)였고, 온화한 헤스티아는 제물을 독점하기를 원하지 않고 남겼으므로 제우스는 두 번째로 제물이 연기에 실려 하늘로 올라오기를 기다려야만 했다. 제사를 지낼 때 바치던 엉치뼈를 “사크룸(sacrum; 천골薦骨, 공물로 바치는 뼈)”이라고 하는 것은 고풍스러운 그리스어 “이에론 오스테온(hieron..

Focum et fidem - Hearth and faith 올륌포스의 여신 헤스티아(Hestia)는 크로노스와 레아에게서 태어난 여섯 형제 자매들의 첫째이다. 그러나 아버지 크로노스는 자식들이 태어나자마자 삼켜버렸고, 헤스티아는 그 첫 번째였다. 나중에 막내 제우스가 크로노스에게 구토약을 먹여 형제들을 다시 토해내게 만들었는데, 나온 순서는 당연히 삼킨 역순이었다. 더구나 시차를 두고 띄엄띄엄 한 명씩 나왔기 때문에 헤스티아는 형제 자매들 중 가장 어렸고 심지어 자매인 헤라와 데메테르는 이미 성인이 된 후였다. 올륌포스의 1세대 여신들 중 헤라와 데메테르는 제우스의 차지였던 관계로, 유일하게 남은 헤스티아는 형제인 포세이돈과 조카인 아폴론으로부터 경쟁적으로 구애를 받았다. 그러나 자칫 큰 분쟁을 우려한..

Mendacium vestitum scientia. - A lie dressed as science. 그리스 철학에서 로고스(logos; 말, 비율, 이성)는 “우주(코스모스)의 진리”라는 뜻이다. 로고스에 “비율”이라는 의미가 있는 것은 아름다운 황금비가 진리로 생각되었던 덕분이다. 그러나 거짓말은 달랐다. 겉으로만 아름다워 보이도록 pseudo(진실을 가장한) + logia(말)를 하는 프세우도로고이(Pseudologoi; 거짓말쟁이들) 또는 프세우데아(Pseudea; 가짜)는 거짓과 위선, 짝퉁, 정치인들의 수호신이다. 이들은 교묘한 거짓 로고스(말)로 사람들을 현혹하고, 가짜 로고스(비율)를 내보여 혼란에 빠트렸으며 엉터리 로고스(이성)를 가르쳐 진리를 훔쳤다. logia(말) + gram(쓰인)..

Petulantia est quasi levitas animi. - Petulance is like a lightness of spirit. 성질이 불량한 뒤스노미아는 아디키아(Adikia; 불법), 아테(Ate; 망상, 어리석음), 휘브리스(Hybris; 거만, 무자비) 등 양아치 신들과 무리지어 다녔다. 휘브리스 → hubris(자만, 오만), hybrid(잡종, 혼성, 하이브리드) 그리스어의 hybr-는 “잡종”의 뜻이다. hybrid: 잡종hybridization: 부합화hybridoma: 하이브리도마(시험관 내 잡종세포배양). hybrid- + -oma(덩어리)cybrid: 세포질細胞質튀기, 사이브리드. cytoplasmic(세포질의) + hybriddihybrid: 이인자잡종monohybrid..
Ululatus pugnantium. - The howling of those fighting. 유혈이 낭자한 전쟁터에도 악령이 여럿 있었다. 호마도스(Homados)는 병사들의 고함과 무기가 부딪치는 등의 전쟁터의 온갖 소음의 악령이고, 알랄리 알랄라(Alale Alala)는 전쟁터에서 적을 얼어붙게 하는 비명의 여신이다. 내란의 악령 폴레모스(Polemos)의 딸인 “알랄리 알랄라(로마에서는 알랄라)”의 이름은 부엉이가 내는 음산한 소리에서 온 것이다. 알랄리 알랄랄와 마찬가지로 라틴어 울룰라(ulula; 소쩍새, 숲부엉이)와 owl(부엉이)은 울음소리를 흉내 낸 의성어이다. 울룰라는 오늘날 ululate(개/이리가 짖다, 부엉이가 부엉부엉 울다)로 남아있다. 부엉이/올빼미는 두 전쟁의 신 아레스와 ..

Semper paratus ad pugnam in corde et corpore. - Always ready for the fight in heart and body. 툭하면 주먹질을 하고 작대기를 들고 싸우는 패싸움의 신들은 휘스미나이(Hysminai; 싸움꾼들)였다. 휘스미나이는 로마의 여신 푸그나(Pugna; 주먹질을 부추기는 여신)에 해당한다. 푸그나는 그리스어 퓌크테스(pyktes; 주먹을 말아 쥔 자, 권투선수), 퓌크노스(pyknos; 뭉친, 두툼한)와 뿌리가 같은 이름이다. 영어 boxer(권투선수, 복서[납작한 코와 부드러운 털의 개])의 어원은 잘 알려져 있지 않으나 옛 독일어 또는 그리스어 퓌크테스 등으로 추측되고 있다. 권투선수(boxer)가 입고 경기하는 짧은 바지에서 남성용 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