걱정과 잔소리의 여신 쿠라
"Cura te ipsum" - Take care of yourself.
생각이 앞서는 신 프로메테우스처럼 로마에는 걱정이 많은 여신 쿠라(Cura)가 있었다. 어느 날 강을 건너다가 진득진득한 흙을 발견한 쿠라는 그 흙으로 무언가를 만들어보고 싶은 생각이 들었다. 쿠라는 심사숙고한 끝에 조심해서 인간(남자)을 빚어냈다. 그리고 자신이 만든 피조물을 바라보며 다시 깊은 생각에 잠겨있을 때(인간에게 영혼이 없음을 알아냈다) 유피테르가 나타났다. 인간에 혼을 넣어 달라는 쿠라의 부탁을 받은 신들의 왕은 얼른 그렇게 해주었다. 잔소리가 두려웠던 것이다.
당연히 쿠라−육체를 만들었다−는 이 새로운 생명체에게 자신의 이름을 주고 싶어 했으나 유피테르도 이번만큼은 피하지 않았다. 처음부터 쿠라의 작품을 탐내던 유피테르−영혼을 주었다−도 자신의 이름을 붙이고 영향 아래에 두고 싶었기 때문이다. 두 신의 끊임없는 언쟁이 이어지고 있을 때 대지의 여신 가이아−재료인 흙을 제공했다−도 나타나 권리를 주장하였다. 결국 다툼에 지친 세 신은 나이 든(현명한) 신 사투르누스(그리스의 크로노스)에게 심판을 청하였고, 사투르누스의 판결은 다음과 같았다.
첫째, 인간이 죽으면 그 혼은 원소유자인 유피테르의 것이다.
둘째, 죽은 인간의 육신은 다시 가이아에게 돌아가 원래대로 흙이 된다.
셋째, 인간에게 숨이 붙어있는 동안에는 쿠라의 소유이다. 따라서 인간은 얼마를 살든 살아있는 동안 걱정과 생각이 끊이지 않으며 여성의 잔소리를 듣는다.
마지막으로 인간은 앞으로 호모(homo; 흙으로 만든 것)라고 부를 것이다. 이 생명체의 육신은 후무스(humus; 흙)에서 와서 후무스로 돌아갈 것이기 때문이다.
세 신이 판결에 만족했는지는 알 수 없다.
후무스 → 호미니드(hominid; 사람 종류), 호모(Homo; 사람속), 호모사피엔스(Homo sapiens; 현명한 인간), human(신에 대한 반대 개념으로서의 인간), inhuman(비인간적인, 몰인정한), humane(인도적인), inhumane(비인도적인, 잔혹한), humanity(인류, 인간성), humanoid(인간을 닮은 로봇/존재, 원인原人), humus(부식[토]), humous(부식토의), posthumous(사후死後의, 유복자로 태어난), exhume([검시를 위해 시체를] 발굴하다)
프랑스의 소설가 쥘 베른(Jules Verne)의 “바다 밑 이만리(Twenty Thousand Leagues Under the Seas)”의 네모 함장(Captain Nemo)의 이름은 라틴어 “네 호모(Ne homo; 무명인, nobody)”에서 비롯하였다.
라틴어 호모(homo; 사람, 남자, 가신) → 불어/영어 옴므(homme; 사람, 남자, 부하), 스페인어/영어 옴브레(hombre; 녀석, 놈), 이탈리아어 우오모(uomo; 남자, 인간)
옴므(homme; 가신) + -age(기능/본질/상태) → 불어 오마주(hommage; 가신의 영주에 대한 충성을 나타내는 의식 → 경의, 찬사), homage(경의)
humus + -ils(형용사) → 라틴어 후밀리스(humilis; 낮은, 평평한, 비굴한) → cumulus humilis(편평운扁平雲), humble(겸손한, 초라한), humiliate(굴욕감을 주다, 창피를 주다), 이탈리아어/영어 오메르타(omerta; 비굴한 → 침묵의 규율, 범죄 은폐)
성경에 언급되는 최초의 인간의 이름 역시 “아담(Adam; [흙으로 만든] 사람)”이며 아담의 후손을 낳아 생명을 이어가는 아내가 하와(Hawwah; 생명)이다. 이브(Eve)는 하와의 라틴식 표기로 여성 이름 이바(Eva), 에이바(Ava), 에블린(Evelyn) 등은 이브의 변형이다. 이브가 아담에게 권했던 선악과가 걸렸다고 일컬어지는 후두융기(결후結喉)를 “아담의 사과(Adam's apple, laryngeal prominence)”라고 한다.
신을 닮은 모습으로 만들어진 인간도 신의 흉내를 내 곳곳에 자신의 이름을 남기기를 즐긴다. 애디슨(Addison)이라는 이름은 “아담의 아들”이라는 뜻인데 영국의 내과의 애디슨(Thomas Addison; 1793-1860)이 발견한 병에 “애디슨병(Addison's disease)”이라는 이름이 붙어있고, 이로부터 Addisonian(애디슨병에 걸린, 애디슨병 환자)이 나왔다. 애디슨의 이름은 또한 “악성빈혈(pernicious anemia, Addison's anemia, Addison-Biermer anemia)”에도 남아있다. 다만 악성이라고는 해도 현재에는 빈혈의 일종으로 취급된다.
라틴어의 homo-(hom-), hum-은 “인간”, “인류”의 뜻이다.
homicide: 살인. homi- + -cide(죽이기)
homunculus: 축소인간(감각을 수용하거나 운동을 제어하는 뇌지도腦地圖, 본디 축소인간을 만들려는 연금술의 시도에서 비롯했다), 호먼큘러스. homo- + -unclus(작은)
human: 사람, 인간
beta human chorionic gonadotropin(BHCG): 베타사람융모성생식샘자극호르몬
human immunodeficiency virus(HIV): 사람면역결핍바이러스
humanism: 인본주의 cf) humanitarianism(인도주의, 박애주의)
antihuman globulin(AHG): 항인글로불린
라틴어의 humus, hum-은 “땅”, “흙”의 뜻이다.
humic acid: 휴민산(부식토에서 얻는 유기산)
exhumation: 시체발굴 cf) exhumation((매장물의) 발굴), inhumation((고대의) 매장)
exhumed body: 발굴시체
맥주 특유의 쓴맛을 내주는 홉(hop) 열매는 삼과(Cannabinaceae)의 덩굴식물인 Humulus lupulus(홉)에서 얻는다. 이 식물이 유기물이 풍부한 토양(humus)에서 자라는 특성에서 속명 Humulus와 로마의 대大 플리니우스의 박물지(Naturalis Historia)에 기록된 이 식물의 덩굴이 마치 양을 덮치는 늑대(lupus)처럼 단단히 엉켜있다는 묘사에서 종명 lupulus가 비롯하였다. 영어 hop은 본디 “덩굴”을 뜻하는 말이고, 홉에 들어있는 잔토휴몰(xanthohumol)은 xantho-(황색) + humulus(홉) + -ol(알코올)이다.
아쉽게도 자신의 창조물인 인간에 자신의 이름을 붙이는 데에는 실패했지마는 걱정과 조심의 여신 쿠라는 다른 곳에 이름을 남겨 놓았다.
쿠라 → cure(치유하다, [고기/생선을] 보존 처리하다, 치료, 교정, 보존), cureall(만병통치약), curious(주의 깊은 → 궁금한), curate(영국 성공회 보좌신부, 부목사), 불어 퀴르(cure; 치료법, 교구 목사/사제), 퀴렛(curette; 큐렛, 긁어내는 기구)
중세에는 미성년자와 정신이상자같이 영혼/정신에 문제가 있는 이들을 걱정해주고 돌보아주는 사람을 큐레이터(curator; [영혼의] 관리자)라고 했는데, 17세기부터는 박물관이나 도서관에서 근무하는 관리자를 이르게 되었다.
라틴어 세쿠라(se cura; 걱정 없는) → sure(확실한), secure(안전한), insurance(보험)
ex-(…의 밖으로) + cura → scour(비벼 빨다, 문질러 윤내다)
manus/pedis(손/발) + cura → manicure(매니큐어), pedicure(페디큐어)
pro-(미리) + cura → procure(간신히 구하다, 필수품을 조달하다, 매춘부를 알선하다), procurer(뚜쟁이), proctor(시험감독관, 학생감), proxy(대리인, 대리행위, 위임장)
라틴어의 cura-, cur-는 “돌보다”, “치유하다”의 뜻이다.
curative: 치유-, 치료-
curette: 큐렛, curet
curettage: 긁어냄(술), 소파(술), 치주소파술 cf) 소파(搔爬; 긁을 소, 긁을 파)
dilatation and curettage(D & C): 자궁긁어냄술, 자궁목확장
cure: 치료 cf) cure(고치다, 보존처리하다, [고무] 경화하다, [콘크리트] 양생하다)
radical cure: 근치, 근본치료
curing: 굳힘, 경화 cf) curing([콘크리트] 양생, 말리기, 절이기, 염지)
curiosity: 호기심
accuracy: 정확도 ↔ inaccuracy: 부정확
assurance: 보증, 보장, 확신 → reassurance: 안심시키기, 재확인 cf) assurance(보험), reassurance(재보험)
incurability: 불치
incurable: 불치-, immedicable
insurance: 보험
commercial health insurance: 민간의료보험
health insurance: 의료보험
pedicure: 발치료, 페디큐어
security: 보장 ↔ insecurity: 불안정
social security: 사회보장제도, 사회보장법
쿠라와 종종 혼동을 일으키는 케어(care)는 “슬픔”이나 “걱정”, 그로 인한 “외침”을 뜻하는 옛말에서 온 것으로 라틴어 가룰루스(garrulus; 수다스러운, 지저귀는)와 뿌리가 같은 말이다.
가룰루스 → Garrulus(어치속), garrulous(수다스러운, 새들이 시끄럽게 지저귀는)
어치의 영어인 jay와 jargon(종잡을 수 없는 말, 은어, 전문어), jar(삐걱거리다)도 마찬가지로 가룰루스처럼 목을 울리는 의성어이다.
care: 의료, 진료, 간호, 돌봄 → aftercare: 후치료, 후보호, 회복기치료, 회복기보호, CCU(coronary care unit); 심장동맥집중치료실, ICU(intensive care unit); 중환자실, NICU(neonatal intensive care unit); 신생아집중치료실, neonatal intensive care center
ambulatory care: 외래진료
comprehensive health care: 포괄보건의료
day care: 주간돌봄, 주간간호
home care: 가정치료, 가정요법, 가정간호
skin care: 피부관리
health care provider: 건강관리요원, 의료기관종사자, health care professional, health care worker cf) caregiver(아이나 병자를 돌보는 사람)
garrulitas vulvae: 질배기음膣排氣音, flatus vaginalis, vaginal flatulence